탄핵소추안 기각을 염두에 두고 청와대가 비서실 조직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개편의 초점은 기존의 참여혁신수석을 없애고 사회수석을 신설하는 방안이다. 이렇게 되면 정책실장-정책수석으로 이어지는 정책실 업무에는 상당부분 변화가 뒤따르게 된다. 청와대는 그러나 개각과 비서실 개편에 관해 일체 함구하고 있어 구체적인 조정방안은 탄핵심판이 결론난 이후에야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3일 "과반수 여당이 새로 생겼고 국내외 정치 행정의 여건도 급변하고 있어 비서실 개편이 필요하다"며 "청와대의 정책조율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책관련 부서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기본 구상은 정책을 경제와 비(非)경제 분야로 나눠 현재 경제관료들이 포진한 정책수석실은 경제문제를 맡고,그밖의 분야는 신설될 사회수석이 총괄토록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정책수석은 자연히 경제수석이 되고,사회수석은 비경제 부처 업무를 중심으로 각종 사회적 갈등 현안까지 챙기게 된다. 다만 찬반과 시비가 팽팽히 맞서는 사회갈등과제의 조정은 정무수석실이 맡는 방안도 함께 거론된다. 이와 관련,박주현 참여혁신수석이 이날 전격적으로 사의를 표명했다. 박 수석은 그러나 "'시민사회'로 돌아갈 것이며 조직 개편 여부와 사퇴는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비서실장-국가안보보좌관-정책실장 등 장관급의 세 자리는 유지한다는 방침이어서 사회수석이 신설되면 정책실장에 좀더 힘이 실릴 수 있다. 정책(경제)수석과 사회수석 체제로 현안을 조율해 나갈 경우 시민단체들을 상대하는 정무수석실과 업무가 겹칠 수 있다. 또 불과 1년여동안 비서실을 몇차례 뜯어고쳐 조직개편이 너무 잦고 이로 인해 일선 행정기관에서 혼선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대외적으로 언급을 꺼린다. 김우식 비서실장도 3일 전 직원들에게 "신중하고 절제있는 태도가 필요하다"며 사실상 '함구령'에 가까운 지시를 내렸다. 김 실장의 입조심 지시는 탄핵국면 후 두번째다. 비서관급에서도 변화가 뒤따를 전망이다. 연설담당비서관의 부활이 검토되고 정무기획 등 일부 비서관들의 업무조정도 예고돼 있다. 관심사는 새로운 인물들의 청와대 입성 여부다. 열린우리당 인사들의 발탁이 예상되는 가운데 중견학자의 기용 가능성이 들린다. 정무수석에 이부영 상임중앙위원 등이 거론되고 이강철 정윤재씨 등 총선낙선자 중 일부도 중용될 것이란 전망이 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