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성분 의약품 89개 품목 시중유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국에서는 부작용이 우려돼 거둬들여진 의약품의 성분이 들어있는 의약품이 시중에 대거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인체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이 있어 외국에서 회수 조치된 위험성분을 함유한 1백50개 의약품을 조사한 결과 이중 89개 품목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11일 밝혔다.
한 예로 비염치료제 성분인 '테르페나딘'의 경우 심장부정맥 부작용을 이유로 미국에서는 98년 회수 조치됐다.
하지만 국내에선 테르페나딘을 함유한 의약품 16개가 시판 중이다.
출혈성 뇌졸중 부작용 때문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회수 조치된 '페닐프로판올아민'(PPA) 함유 의약품도 63개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었다.
감기약 및 식욕억제제 성분인 PPA가 함유된 감기약은 대부분 소비자가 약국에서 의사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으로,현재 안전성에 대한 당국의 조사가 진행 중이므로 결과가 나올 때까지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고 소보원은 말했다.
항우울제 성분인 '네파조돈' 함유 의약품(1개)과 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성분인 '시사프리드' 함유 의약품(5개)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약회사에 자진 회수 또는 공급을 잠정 중단토록 했지만 현재도 시판중이며 병원에서 처방되기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과잉행동장애 치료제 성분인 '페몰린'함유 의약품(1개),수술 후 소모상태 치료제 성분인 '난드로론' 함유 의약품(1개),수술 후 동통 치료제 성분인 '메타미졸소디엄' 함유 의약품(2개)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송주희 기자 y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