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중국경제를 고속으로 달리는 벤츠에 비유한 적이 있다. 이 벤츠가 감속 페달을 밟고 있는게 요즘 중국의 모습이다. 따라서 외국 기업의 대 중국 진출 전략도 '속도 조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글로벌 경영의 핵심변수로 등장한 중국 경제의 체질 개선은 외국기업에 전면적인 전략의 재점검을 요구하고 있다. ◆중국은 더 이상 '저비용 천국'이 아니다=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올초부터 2천5백27개 개발구(공단)의 조세우대 조치를 실사한 결과,4억3천만위안(약 6백45억원)의 불법특혜를 적발,세금을 추징중이라고 지난 12일 밝혔다. 원 총리가 고정자산투자 억제책의 하나로 지시한 조세우대 남발 금지에 따른 것이다. 중국에서는 지방정부의 전력요금 우대 등 각종 특혜조치를 회수하는 경기과열 진정책이 잇따르는 데다 전력난 원자재난 수자원난 토지난 등으로 갖가지 생산요소 비용이 동시다발적으로 오르고 있다. 삼성중국본부의 김인종 상무는 "올초부터 수출 부가가치세 환급이 줄어들면서 이미 중국내 사업 비용이 크게 늘었다"며 "아웃소싱 확대 등 다각적인 비용절감 방안을 모색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대출억제 조치까지 겹친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등 자원 다소비형 과열업종은 저비용 고효율 생산구조를 서둘러 갖춰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지방정부와의 '관시'에서 탈피하라=중국이 부패 징벌을 강화하면서 관시(關係)에 의존한 사업풍토도 수술대에 오르게 됐다. 특히 지방정부의 독자적인 사업승인 남발에 제동이 걸리면서 관시에 의존해 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힘들어졌다. 지방정부의 말만 믿고 개발구에 입주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중앙정부의 승인없이 과잉 중복으로 조성된 개발구 정리가 대대적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의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베이징에서만 수십개 한국기업이 정리대상 개발구에 입주해 대책마련에 골몰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에서는 4백70개 개발구가 28개로 축소됐다. ◆소비재 수출 확대해야=중국 거시경제 방향이 과잉투자는 억제하고 소비는 진작하는 쪽으로 바뀌는 데 따라 대 중국 수출 전략도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무역협의회 베이징사무소의 김철환 이사는 "원부자재 위주의 대중 수출전략에서 탈피해 고가의 소비재 시장공략을 확대해야 한다"며 "수출지역도 중국 이외로 다변화하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기과열의 주범으로 꼽힌 부동산 투자에 대한 거품빼기에 중국 정부가 본격 나서면서 아파트 골프장 등 대 중국 부동산 투자는 자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국 정부가 시장진입 요건으로 에너지 물 원자재 등의 소비량은 물론 환경오염 기준을 엄격히 적용토록 한 조치에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 이장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베이징사무소장은 "낡은 장비 뜯어다가 비용 따먹겠다는 식의 접근은 중국에서도 도태기업으로 전락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 소장은 그러나 "에너지나 환경관련 기업들은 경기진정 조치가 창출할 시장 확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중국의 경기과열 진정책이 외국기업에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