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계는 14일 헌법재판소가 국회의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를 기각함에 따라 행정력의 구심점이 복원돼 경제난 극복과 민생현안 해결에 매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맞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금융계는 특히 각종 대외 악재로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는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정부가 역량을 발휘해 줄 것을 주문했다. 우리은행 손병룡 부행장은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이 탄핵에 이를 정도는 아니라는 헌법재판소의 명확한 판단이 나왔기 때문에 앞으로는 정치인이나 경제인 등 모든국민이 합심해 대통령을 중심으로 민생 현안을 풀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 부행장은 "현재 유가 급등, 이라크와 북핵 문제 등 국제적 현안들이 많다"고지적하고 "탄핵과 관련한 더 이상의 논란이나 갈등에서 벗어나 이제 국가 장래를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한은행의 팀장급 간부는 "총선 결과가 나왔을 때 이미 예견됐던 일"이라고 전제하고 "과반수를 여당이 차지하고 대통령도 정상적인 자리로 돌아왔기 때문에 앞으로는 경제 문제 해결에 노력을 집중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는 바람을 표시했다. 하나은행의 부장급 간부도 "기각 결정이 당연한 것 같다"고 말하고 "정쟁보다는실업 문제 해결 등 경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 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증권업계도 대통령 탄핵 가능성이라는 악재가 완전히 해소됐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대신증권 김영익 투자전략실장은 "투자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차원에서 긍정적"이라면고 평가하고 "탄핵이 기각됨으로써 현 정부의 정책이일관성을 유지할 것이라는 점도 주식 투자자들의 심리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권업계는 그러나 이번 탄핵 결정은 충분히 예견됐던 것인 만큼 증시에 미치는영향은 중립적이라고 진단했다. 한마디로 주가를 끌어올릴 호재로는 작용하지 못할것이라는 얘기다. 김영익 실장은 "증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 미국 금리 인상과 고유가, 중국의 긴축 정책 등 해외 악재인 만큼 이번 기각 결정이 주가 급반등의 전환점 노릇을하기는 힘들다"고 관측하고 세계 경기 둔화와 수출 부진의 가능성에 대비하는 한편내수를 적극 부양하는 노력을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한화증권 이종우 리서치센터장도 "기각 결정이 일시적으로 주가를 끌어올릴 수는 있겠지만 곧 원래 추세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말하고 "이는 4월15일 총선 결과가드러난 이후 탄핵 기각이 거의 기정사실화 돼 이미 모든 영향이 증시 등 금융시장에반영된 때문"이라고 말했다. 대우증권 전병서 리서치센터장은 "증시의 관심사는 탄핵이 아니라 외생 변수들을 주목하고 있다"고 밝히고 "다만 향후 경제정책이 일관성 있고 신속하게 취해질것이라는 기대감은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부가 거대 여당과 함께 내수 촉진에 정책의 초점을 맞출 것으로보여 중장기적으로는 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금융.증권팀 jus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