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급등의 주된 원인인 수급차질이 빠른 시일 내에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지난 16일 분석했다. 뉴욕타임스는 '빡빡한 원유공급 조만간 완화되지 않는다'라는 분석기사를 통해 세계 대부분의 산유국과 주요 정유업체들이 이미 능력 내에서 최대한의 석유를 생산하고 있어 석유공급이 확대될 여지가 극히 제한돼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제유가가 잇단 사상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소규모 산유국과 유전개발업체들이 일부 유전을 재가동하고 있지만 이들의 추가생산 물량이 세계 석유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고 덧붙였다. 이 신문은 현재 전세계 산유국의 추가생산능력을 하루 2백만∼2백50만배럴로 추정하고 "즉각 증산능력을 갖춘 곳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정도뿐"이라고 지적했다. 수년간 증산을 고수해온 러시아의 경우는 추가생산 여력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유업체들의 가동률도 지난달 96%에 달해 사실상 풀가동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국제유가가 테러 투기세력 등의 변수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도 완충역할을 해줄 추가공급 여력이 거의 없기 때문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