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ING증권은 호남석유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이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평가하고 내년까지 순이익이 계속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했다.
향후 전망을 감안할 때 최근 주가하락은 과도한 수준이라고 판단하고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목표가 7만3,600원.
한경닷컴 김희수 기자 hskim@hankyung.com
한경 이코노미스트 클럽 경제 전문가들이 원·달러 환율이 올해 1400원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로 가면서 환율이 완만히 하락하겠지만 1300원대 진입에는 실패할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고환율 흐름이 계속되면서 우리 경제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23일 한경 이코노미스트 클럽 회원 19명이 제시한 올해 연말 원·달러 환율 평균치는 1402원80전으로 나타났다. 1월 말 1452원70전이었던 환율이 상반기 말 1425원을 거쳐 서서히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환율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 것은 하반기로 가면서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상반기 중 미국의 무역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집중된 후 하반기에는 트럼프 트레이드 흐름이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남강 한국투자금융지주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 상저하고의 성장흐름이 나타나는 반면 미국은 상고하저의 모습이 예상된다"며 "하반기로 갈수록 환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문제는 연말 환율로 제시된 1402원80전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점이다. 작년 평균 환율(1364원38전)은 물론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직전인 지난해 12월 2일(1402원50전)보다도 높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과의 경제 기초체력(펀더멘털) 격차로 환율 수준이 예전처럼 낮아지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윤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경기가 강한 상황에서 한미 금리 격차는 줄어들기 어려운 상황이 생각보다 오래 갈 수 있다"고
LG화학, 롯데케미칼 등 석유화학 기업의 신용등급 추가 강등 우려가 나온다. 기초유분을 생산하는 ‘업스트림’ 산업 내 공급 과잉이 지속되고 있어서다.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주요 석유화학 기업의 지난해 4분기 영업실적 분석 보고서를 내고 ‘신용등급 추가 악화 가능성’을 경고했다. LG화학, 롯데케미칼, 한화토탈에너지스, HD현대케미칼, 여천NCC 모두 업스트림 부문에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봤다. 나이스신용평가를 포함한 국내 신용평가 3사는 작년 6월 이후 이들 5개사의 신용등급 또는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유준위 한국기업평가 수석연구원은 “영업현금 창출을 토대로 재무 부담을 완화해 줄 가능성이 작아 신용도 하방 압력이 높다”고 평가했다. 오윤재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중국의 대규모 생산능력 증가로 범용 제품의 수급 환경이 나빠졌다”며 “2027년까지 공급 과잉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회사채 시장에서는 신용도 악화가 2차전지로 확산할 가능성을 걱정한다. 유관산업인 데다 똑같이 재무 악화를 겪고 있어서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달 LG화학 등급 전망을 강등하며 2차전지 사업 불확실성을 거론했다. 한국기업평가는 다수의 관련 기업 등급 전망을 일제히 ‘부정적’으로 조정했다.이태호 기자
미국 저명 투자자 워런 버핏(사진)이 일본 주요 5개 무역 회사의 주식을 더 많이 매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23일 일본 NHK방송 등에 따르면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은 전날 버크셔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버크셔 주주들은 우리의 자금이 주로 주식, 특히 미국 기업 주식에 투자될 것임을 확신해도 좋다"며 "많은 기업이 해외에서도 중요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고도 말했다.올해 주식 투자업종과 관련해서 일본의 주요 종합상사 5곳(미쓰비시상사, 미쓰이물산, 이토추상사, 스미토모상사, 마루베니상사) 지분율을 확대할 뜻도 있음을 밝혔다. 버핏은 "장기적으로 버크셔의 일본 기업 지분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향후 경영진도 수십 년간 이들 기업의 지분을 보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버크셔는 2019년부터 일본 5대 종합상사에 투자해 총 138억 달러를 투입했다. 현재 해당 지분 가치는 235억 달러로 증가했다. 버핏은 서한에서 이들 일본 기업들이 기존 10%인 버크셔의 지분 한도를 다소 완화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앞서 버핏은 2년 넘게 현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버핏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는 연례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회사가 보험 사업 호조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474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고 밝혔다. 3년 연속 최대치다. 투자 수익을 포함한 지난해 순이익은 890억달러(128조원)다.눈길 끈 부분은 현금성 자산 보유액이다. 지난해 말 기준 버크셔는 단기 국채 등 현금성 자산이 3342억달러(480조7467억원)라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2023년 말에 비하면 거의 2배 늘어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