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한국군의 이라크 파병과 관련해쿠르드 자치정부측과 공항사용 및 주둔지 이용 등에 관해 양해각서(MOU)와 같은 문서를 교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23일 알려졌다. 정부는 이에 따라 금주중에 파견될 예정인 파병협조단이 쿠르드 자치정부측과공항사용과 주둔지 문제 등 핵심쟁점을 매듭짓는 대로 그 결과를 MOU 같은 문서형식으로 합의해 사후 우리 군의 안정적 주둔을 보장할 계획이라고 한 소식통이 전했다. 이 소식통은 "이라크에 파병된 외국 군대는 다국적군의 일원으로 파병했고, 이라크 정부가 수립되지 않아 특별한 협정없이 이라크에 주둔중"이라면서 "하지만 우리군의 파병시 안전보장과 안정적인 주둔을 위해서는 쿠르드 자치정부측과 파병사항전반에 관해 문서형식으로 합의를 해놓는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쿠르드 자치정부가 공식적인 정부가 아니고 지방정부에 불과한 만큼구체적인 문서형식에 대해서는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또 한국군의 아르빌 파병시 술라이마니야 등 다른 쿠르드 지역의 반발과특히 쿠르드족에 대한 반감이 강한 이라크 주요 민족인 아랍계의 반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의 예방을 위해 현재 시행중인 2억6천만달러 규모의 대(對)이라크재건지원 사업도 이라크 전역에 걸쳐 다양하게 시행할 방침이다. 특히 아랍족의 반발을 사전에 예방하는 차원에서 조만간 수니파 거점도시로미군과의 교전과정에서 많은 피해를 입은 팔루자 지역에 한국산 담요 5천장을 이슬람성직자협회를 통해 무상으로 지원키로 결정했다. 또 나시리아에 주둔중인 서희.제마부대가 자이툰 부대 본대 파병과 함께 주둔지를 이동할 경우 나시리아 주민들의 반발이 제기될수 있는 점을 감안, 기존에 약속한전후복구 및 정보통신지원 사업 등을 계속 추진하고, 파병지로 검토됐다 취소된 키르쿠크 지역에 대해서도 청소차 및 컴퓨터 지원사업을 계속 추진할 방침이다. 다른 소식통은 "우리 군이 아르빌에 주둔하더라도 재건지원 사업은 다른 쿠르드지역에서도 해달라는게 쿠르드측 요구사항이며, 아랍족의 반발 가능성을 예방하기위해서라도 이라크 재건지원 사업은 바그다드를 비롯해 이라크 전역에서 실시하는게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바그다드=연합뉴스) 안수훈 특파원 a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