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자.통신 급성장 견제] 기업들 특허관리 '총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국업체의 특허공세로 전자업계에 '특허 관리 경보음'이 울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2백40여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의 특허전담조직을 운영하면서 지난해부터는 국내 기업 중에서 처음으로 특허사무를 전담하는 변리사를 정식 직원으로 채용했다.
또 특허전담조직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 변호사들을 선발해 사업부문별로 운영하는 한편 전담인력을 전문기술직으로 인정해 '대리·과장·부장'의 일반 관리직급이 아닌 '선임·책임·수석'의 연구개발 직급을 적용해 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특허전담 인력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희망자를 뽑아 변리사나 미국 특허변호사 자격증을 딸 수 있게 지원하고 미국 특허사무소에서 인턴십 경험을 쌓게 하고 있다.
LG전자는 각 사업부 소속의 모든 연구소와 연구관련 부서에 특허부서나 전담 인원을 배치,운영하고 있다.
또 특정 제품을 해외시장에 선보일 때 발생할 수 있는 특허관련 분쟁의 소지를 원천봉쇄하기 위해 30여개의 프로젝트 팀을 운영하고 있다.
삼성SDI도 지난해부터 특허관리를 대폭 강화,사업부문별로 특허 전담팀을 설치·가동하고 있다.
대우일렉트로닉스는 최근 유기EL(OLED)사업 진출을 위해 관련 특허 40여개를 보유한 국내 벤처기업인 CLD를 인수,안정장치를 마련했다.
하지만 최선의 해결책은 역시 원천기술의 연구개발(R&D)을 강화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의 경우 막대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 기술을 사들이기 위한 외국기업 인수에도 나서고 있지만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중소 전자?IT 기업들"이라며 "외국기업의 전방위 특허공세가 계속될 경우 중소업체들의 존립기반이 붕괴될 가능성도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기술표준이나 로열티 문제는 민간차원에서 논의돼야 할 문제이지만 장기적으로 산·학·연 합동으로 원천기술을 개발할 때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등 정부의 지원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