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광화문 일대 상업.문화단지 유력..행정기관 충청권 이전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행정수도가 충청권으로 이전하고 나면 서울이나 과천 등의 행정·법조타운 일대는 어떤 모습으로 바뀔까.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와 한국토지공사가 25일 공개한 '신행정수도건설추진 최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행정수도 이전 후 '경제수도'로서 서울의 위상을 감안할 때 국가기관 이전 부지들은 상업·업무시설과 복합문화공간 등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됐다.
◆행정기관 이전지 개발방향(한국지역학회 이기석 박사)
정부1청사 주변(서울도심)지역은 서울의 핵심지구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상업·업무지역으로 바뀔 가능성이 가장 크다.
다만 주변에 고궁 등 문화시설이 많아 도서관과 박물관 등이 들어서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할 가능성도 있다.
법조단지(서초구) 일대는 주변여건을 감안할 때 동쪽지역은 상업·업무지구에 편입되고,서쪽은 고급·일반주거단지로 바뀌는 게 자연스럽다.
주변의 국립중앙도서관,학술원 등과 연계한 대규모 공공학술단지로 개발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정부2청사(과천) 주변의 경우 서쪽은 주변경관을 고려한 저밀도 아파트 단지로,정부청사가 위치한 동쪽은 종합문화타운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서울과 과천을 연계 개발해 경제기능이 강화된 클러스터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전문가·시민의견(연세대 김홍규 교수)
지난달까지 전문가와 서울 과천 등 수도권 주민을 대상으로 세 차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와대는 역사성과 상징성을 감안해 공공시설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전문가 97%,서울시민 73%,수도권주민 64%)이었다.
광화문 일대는 전문가들의 경우 일부는 민간에 매각·임대하고 일부는 공공시설로 활용하자는 의견이 많은 반면 시민들은 공공시설로 활용하자는 의견이 우세했다.
국회의사당(여의도)과 정부2청사는 공공시설로 활용하자는 의견이 우세했으나 법조단지 일대는 민간에 매각·임대하자(전문가 30%,서울시민 44%,수도권주민 29%)는 의견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전 후 기존 시설 부지 땅값(연세대 김홍규 교수)
현재 공공청사가 들어서 있는 토지를 매각 후 지금의 용도지역에 맞춰 개발할 경우 개별공시지가 기준으로 부동산 가치는 4조2천5백11억원으로 추정됐다.
다시말해 공공시설물이 들어서 있는 현재 상태의 땅값이다.
하지만 청와대 등 특정 부지 일부만 보존하고 국방부 부지는 주거지역,나머지는 업무·상업지역으로 용도변경해 개발한다고 가정하면 부동산 가치는 8조8천3백5억원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청와대나 국방부가 이전한 터에 IT(정보기술) 등 무공해 첨단산업을 유치하는 등 모든 부지를 주변지역과 비슷한 용도로 개발할 경우에는 땅값이 최대 15조8천8백26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김홍규 교수는 "행정수도 이전 후 수도권은 동북아비즈니스 중심지역으로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수도권 남북간 균형 개발이 이뤄지도록 행정기관 이전부지를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