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대통령과의 청와대 회동을 계기로 올해 투자를 당초보다 34%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경제가 장기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다 실업문제도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확대는 보통 시급한게 아니다. 하지만 불확실한 경제여건을 감안하면 의욕적인 계획이 제대로 실행에 옮겨질 수 있을지엔 의문이 없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때문에 정부는 강력한 투자유인책을 펼쳐 투자가 예정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해야 마땅하다. 기업정책과 대선자금 수사 등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어왔던 정부와 재계가 이번 회동을 계기로 관계를 정상화하고 경제회생에 힘을 모아야 함은 강조할 필요조차 없다. 그런 점에서 삼성을 비롯한 15대 그룹이 투자확대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대단히 의미 깊은 일이다. 특히 투자계획을 품목,금액,프로젝트 별로 상세히 제시하는 등 실현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 보이는 만큼 기대가 크다. 대기업들이 투자를 확대하면 중소기업들 역시 자연히 투자를 늘리게 되는 부수효과를 거둘 수 있고,따라서 투자확대 분위기가 전 산업계로 확산돼 나갈 수 있다. 지금 투자확대가 시급한 이유는 자세히 설명할 필요조차 없다. 청장년실업 등 일자리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신용불량자가 4백만명에 육박하는 점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투자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 이뤄지지 못하면 참여 정부가 강조하는 복지와 분배를 늘리는 것 또한 절대 기대할 수 없음은 너무도 당연하다. 때문에 정부는 이번에야말로 총력을 다해 기업 투자를 지원하지 않으면 안된다. 투자 활동의 발목을 잡는 출자총액제도 등 각종 규제를 하루빨리 폐지해 기업의욕을 북돋워주는 한편 우리 사회에 만연한 반기업 정서를 해소하는 데도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같은 정책을 놓고도 서로 엇갈린 목소리를 내면서 부처이기주의에 집착하는 모습도 더이상 보여서는 안될 일이다. 재계 또한 투자확대와 함께 경영투명성을 더욱 높이고 고용을 확대하는 일에 최대한 노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덧붙이고 싶은 것은 이번 청와대 회동을 계기로 정부와 재계가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가 보다 많아져야 한다는 점이다. 서로의 입장과 처지를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을 찾을 수 있는 지름길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