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未입주 새 아파트 급증] 향후 전망과 대책…전문가 진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 전문가들은 수도권 새 아파트의 낮은 입주율을 부동산 거품 붕괴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최근 2-3년간 계속된 수도권의 비정상적인 분양 열기가 불러온 부작용이라는 설명이다.
전문가들 대부분은 당분간 수도권에서 빈 아파트가 더욱 늘어날 것이고 이로 인해 주택업체의 대규모 부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주택업체의 차별화와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재룡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선(先)분양제도 덕분에 충분한 자금력 없이 무리한 주택사업을 해오던 업체들이 시험대에 올랐다"며 "한정된 주택시장을 놓고 너무 많은 업체들이 난립해 일찍부터 구조조정이 예견돼 왔다"고 말했다.
토목과 해외사업 등을 외면하고 돈벌이가 되는 주택사업에만 치중해온 중견업체들의 사업구조에도 변화가 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태준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 말까지 수주 동향 등을 분석한 결과 주택경기가 나아질 조짐은 거의 없다"며 "은행들이 중견업체들에 대한 대출심사까지 강화하고 있어 그야말로 생사의 기로에 서는 업체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브랜드 파워와 자금력을 갖고 있는 일부 업체들은 업계 구조조정에 따라 오히려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여러 중견 건설업체들이 일시적으로 자금 위기에 몰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들이 외환위기 때처럼 연쇄 부도를 낼 경우 향후 주택시장에 더 큰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김성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종합건설업체 수가 2.5배 늘어날 정도로 주택시장이 과열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합리적인 지원과 대책 마련이 더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번 기회에 분양에서 입주까지 몇 년간에 걸쳐 자금 회전 리스크에 노출되는 건설업체들의 취약한 수익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 연구위원은 대안으로 후(後)분양제 도입을 적극 고려할 때라고 강조했다.
후분양제는 초기 비용 부담은 크지만 중도금이나 입주와 관련한 위험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전체 분양대금의 10%대 안팎에서 결정되는 계약금 규모와 무이자 융자 등의 변칙 마케팅 기법도 수술 대상으로 꼽혔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저금리와 풍부한 부동자금으로 호황을 누리던 부동산경기가 급속히 경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주택경기의 경착륙은 실수요자들의 피해만 키울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