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 등 유해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해 자동차 연비 기준치를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닛산 등 자동차 메이커들은 자동차 경량화를 서두르고 있다.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은 오는 2015년까지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현행 기준치보다 최고 10% 줄이도록 한 '환경행동계획안'을 확정했다. 현행 규정은 중량 8백28~1천16kg 승용차의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까지 95년 제품 대비 10% 줄이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새 기준은 여기에다 추가로 10%를 감축하는 내용이다. 정부측은 연비가 좋은 승용차의 경우 가솔린 1ℓ당 10~15km 가량 주행할 수 있는 것을 장기적으로 20km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연비 규제 강화 방침에 대응, 자동차 업체들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닛산은 신형차의 소재를 바꾸고 부품 수를 축소, 차체 무게를 평균 5~10% 가량 줄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닛산은 6월 중 개발본부를 중심으로 소재 연구 및 부품 조달 등 관련 부서가 참가하는 '경량화 프로젝트팀'을 구성한다. 두께가 얇으면서도 강도가 높은 강판과 수지 등 소재 조달을 위해 공급업체들을 설계단계부터 참여시키기로 했다. 경량화 대상은 스카이라인 및 마치 등 주력 차종을 포함, 향후 5년간 개발 예정인 37개 차종이다. 닛산 관계자는 "차량 무게를 10% 줄이면 그것만으로도 연료가 5% 가량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세계시장 판매확대를 위해 에너지효율이 높은 제품으로 경쟁사와 차별화를 꾀하는 한편 중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재가격 상승에도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도요타와 혼다자동차도 현재 개발 중인 자동차에 차종별로 경량화 목표치를 설정하고 있다. 도쿄=최인한 특파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