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에 미니신도시 15~20곳을 건설해 공공기관을 집단이전시킨다는 계획을 내놓은 것은 몹시 '느닷없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막대한 재원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 구체적 방안도 없이 졸속으로 '구상'부터 발표한 것이 그렇고,이 계획이 전국을 부동산 투기장으로 만드는 부작용만 가져오는 것 아니냐는 걱정부터 앞서게 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정부는 시도별로 1~2곳씩 50만평 규모에 공공기관을 비롯한 관련기업,연구기관 직원 등 2만명을 수용해 '산·학·연·관 혁신 클러스터'의 거점도시로 개발한다는 구상이지만 이는 즉흥적이라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다. 당초 공공기관 4~5개씩을 묶어 옮기는 지역에 집단이전단지를 건설한다던 계획이 며칠만에 지역별 혁신 클러스터와 연계된 '미래형 혁신도시'로 바뀌고,한곳에 옮기는 공공기관이 6~10개 단위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재원문제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신도시 한 곳의 조성비용을 4천억원 정도로 추산,대략 8조원의 소요예산을 토지분양으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공공기관 외에는 수요 자체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토지가 제대로 분양될지 미지수이다. 더구나 이 정도 재원으로는 도로 상하수도 등 최소한의 인프라 건설도 벅찰 것으로 보여 미래형 도시건설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신도시에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옮겨갈 가능성도 낮다. 기업이 이전하지 않으면 교육기관 및 생활편의시설 확충이 늦어지고,주거단지만 건설된 채 사람은 살지 않는 '빈 도시'가 장기간 계속될 수밖에 없다. 대다수 공공기관이 자녀교육이나 생활편의 등을 이유로 지방이전에 반발하는 마당에 수도권 민간기업이 옮겨가지 않으려 할 것은 너무나 분명하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부동산 투기의 확산이다. 이미 충청권을 휩쓸었던 토지투기가 전국으로 번질게 틀림없다. 지역균형발전도 중요하지만 막대한 국가재정이 투입돼야 하는 계획인만큼 보다 면밀한 검토가 이뤄진 뒤 결정돼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