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정치특보에서 물러난 문희상(文喜相) 의원은 5일 "대통령의 진의를 받든다는 것은 우리도 모르게 스스로 옛날 권위주의적의식 속에서 청와대에 의지하려는 의식을 버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청와대와 당.청회의를 해달라는 등 그게 뭐냐. 옛날 권위주의시절의 주례보고와 뭐가 다르냐"며 전날 신기남(辛基南) 당 의장등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게 `대통령과 당 의장, 원내대표 정례회동'을 요청한것을 직접적으로 비판했다. 문 의원은 노 대통령이 정치특보직을 폐지한 것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날 해방시켜준 것 아니냐", "개인적으로 총대를 멘 나를 보호하는 것"이라며 호의적으로 해석했다. 문책성 특보직 폐지는 아니라는 얘기다. 그는 "특보직을 없앤 것 자체가 메시지"라며 "당에서 당.청간 창구가 필요하다고 요청해 놓고 총독이니 뭐니 하는 얘기가 자꾸 나오니까..."라며 자신에 대한 당일각의 비난에 대해 여전히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사전에 특보직 폐지 사실을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대통령과 나와의 관계니까 따로 언급할 일은 못된다"면서도 "공식적으로는 처음 들은 것이지만 그전에 다른쪽에서 내가 타깃이 돼서 독박을 쓰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미안한 마음을 갖고 있다는 것을 들었다"고 말해 사실상 노 대통령과의 간접 교감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그는 재.보선 결과와 김혁규(金爀珪) 총리카드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관계가없다"고 잘라 말하면서 `김혁규 총리 문제는 여당 지도부의 시험대'라는 종전 자신의 발언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이 지명한 총리를 과반 여당이 부결시킨다면 언론이 가만 있겠느냐.벌써부터 누수라는 식으로 비판할 것"이라며 "대통령이 책임을 묻는다는게 아니라모든 정치행위에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문 의원은 재.보선 결과와 당 지도부 책임론에 대해서는 "지도부가 된 다음에 시간이 너무 촉박했고, 뚱딴지 같은 일을 벌이고 그랬으면 문제지만 짬짬이 온갖군데 잘 다니면서 잘 했다"며 "책임론을 제기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재.보선 결과에 따른 조기전대 개최론 등에 사전 쐐기를 박았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재기자 kn020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