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하반기이후 세계경제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벌써 6월이다.
매년 이맘 때쯤이면 많은 경제 현안 가운데 '세계 경기가 어떻게 될 것인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다.
올 하반기를 앞두고 세계 경제의 주변여건은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고 중국도 본격적인 경기조절에 나설 태세다.
조만간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들은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쌍둥이(재정 및 무역) 적자로 국제 통상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데다 헤지펀드를 비롯한 투기자본의 활동이 기승을 부리면서 주가 등의 가격변수가 실물경제 여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주식과 부동산 시장에서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자산거품 현상이 대표적인 예다.
국가별로는 미국 경제가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는 지금의 성장세가 이어진다 하더라도 내년 들어서는 쌍둥이 적자 등 당면한 경제 현안을 개선하기 위해 경제 정책의 대전환이 모색될 가능성이 높다.
내년 1분기에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가 정점을 맞을 것으로 보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일본 경제는 '부(富)의 효과'로 소비를 중심으로 회복돼 이중침체(double-dip)를 보였던 종전과는 분명히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 등은 여전히 부담스런 상황이다.
국제통화기금(IMF) 등 일부 전망기관들은 일본 경제 성장률이 내년에는 올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도 당초 계획했던 것보다 강도있는 경기조절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 2분기 성장률이 11%를 넘어 경기과열을 방치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가장 우려되는 점은 그동안 고도성장세에 익숙해 있는 중국이 경기를 조절하다가 급락하는 경착륙(hard landing)에 빠질 가능성이다.
조종사가 비행기를 활주로에 안착(soft landing)시키기 위해서는 오랜 경륜이 필요하다.
이런 기준으로 볼 때 중국은 그동안 경기를 조절하는 경험이 없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승객에 해당하는 세계 경제와 우리 경제를 불안하게 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유럽 경제도 비록 유럽연합(EU) 회원국이 25개국으로 확대됐으나 기존 회원국과 신규 회원국간의 경제력 격차로 당장은 유럽 경제에 도움이 되기는 힘든 상태다.
오히려 신규회원국들의 경제를 일정수준 이상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기존 회원국들의 비용부담이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유로랜드는 개별 국가차원에서 경제주권에 대한 요구가 날로 강해지고 있고 경제수렴조건(economic convergence conditions) 이행에 균열조짐을 보이면서 통합효과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있다.
내년에도 유럽 경제는 지금의 완만한 성장세에서 크게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주요 기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밖에 아시아 국가를 비롯한 개도국 경제는 내년 들어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그동안 경기를 이끌어 왔던 수출이 미국, 중국 등 주요 교역국의 경기조절로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우리다. 종전과 달리 세계 경제가 회복된지 2년이 다되어가고 있지만 이번만은 이 흐름을 타지 못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내년 들어 세계 경기마저 정점을 지난다면 우리 경제는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최근 '위기냐,아니냐'는 논란에 앞서 정책당국에서는 이 점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 놓아야 한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