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혁신] 농업기반공사 ‥ 1천개 권역나눠 농촌 특화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2000년 1월 농업 관련 3개 기관(농어촌진흥공사, 농지개량조합, 농지개량조합연합회)을 통합해 출범한 농업기반공사(사장 안종운)는 공기업 구조조정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최근 4년 연속 흑자를 냈고, 지난해 매출액은 출범 당시보다 36% 이상 늘어난 2조5천8백49억원을 달성했다.
1인당 부가가치도 2000년보다 30.2% 향상됐다.
또 3개 기관 통합 당시 조직의 50% 수준을 감축한데 이어 출범 후 다시 1백6개 조직을 감축하고 인력도 2천여명 이상이나 줄였다.
농업기반공사는 올해 3대 경영전략으로 △살기 좋은 농촌개발 △생산기반 정비ㆍ효율화 △농업경쟁력 강화를 제시했다.
특히 올해부터 농촌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을 향후 10년간 1천개 권역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농촌 지역별 테마를 찾아 주요 특산품과 주변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지역테마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물 관리 효율화를 위해 시설물 현대화 사업과 물관리 자동화사업에도 중점을 둘 계획이다.
공사가 관리 중인 시설물은 전국의 19%인 1만3천여개로 용수 공급량으로는 전체의 80%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
올해는 이들 시설의 현대화를 위해 3천2백억원을 투입, 3백91개 지구를 시행하고 이 중 69개 지구를 준공할 계획이다.
중앙관리소의 컴퓨터를 활용해 수리시설물을 조작, 통제함으로써 농업용수 공급을 완전 자동화한 '물관리 자동화사업'(TM/TC)도 4백38ha에 걸쳐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취임한 안종운 사장은 윤리경영과 투명경영을 통한 공사의 제2의 도약을 강조하고 있다.
윤리경영의 실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윤리경영실 운영 △내부고발제 도입 △윤리경영 우수사례 포상 등 다양한 시책을 펴고 있다.
안 사장은 "고객 위주의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다각적인 변화를 시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