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시범단지 입주공사가 코앞에 다가오면서 15개 입주대상기업들 사이에 걱정거리가 하나둘씩 생기고 있다. 입주와 관련된 세부사항에서 중소기업과 정부간의 시각차가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견해차는 시범단지 입주예정업체들을 대상으로 최근 경기도 분당 토지공사에서 열린 사업설명회에서도 극명하게 나타났다. 이날 참석한 입주기업 대표들은 오는 7월부터 선발주자로 개성공단 입주공사를 시작한다는 사실에 자긍심과 기대를 가졌다. 이들은 성공모델을 만들어보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설명회가 진행되면서 기업인들의 기대는 걱정과 불안으로 점차 변해갔고 일부 기업인들은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이는 정부가 총론에서는 입주기업들의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히면서도 각론에서는 기업들이 각자 알아서 하라는 식의 태도를 보인데 따른 것이다. 예컨대 기업인들은 공단내 생활용수시설, 폐수처리장 등의 사회간접자본에 속하는 시설을 정부가 설치해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부 관계자는 입주기업이 직접 시공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이 관계자는 올해안에 완성품을 생산토록 독려하면서도 정작 북한인력 기술교육을 위한 교육장은 기업이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범단지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선 기업인들이 어려움을 감내해야 한다는 주문까지 곁들였다. 기업인들은 특수한 상황에서 벌이는 사업에 대해 어떻게 정부가 방관하는 자세를 보이느냐며 항의했다. 개성공단은 수천개 중소기업 뿐 아니라 대기업과 외국기업들도 관심을 갖는 사업이다. 또 이 사업이 성공하면 남북관계개선과 경협확대에도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중소기업인들은 리스크가 큰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 정부가 좀더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줄 것을 희망하고 있다. 이계주 벤처중기부 기자 lee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