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일씨는 무사히 풀려날 수 있을까. 과거 테러단체에 피랍된 일본 및 미국 민간인들의 사례에 비춰 볼 때 그의 생환 및 피살가능성은 반반이다. 일본 민간인들은 협상 끝에 풀려났지만, 미국인들은 무참하게 살해됐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김선일씨의 운명은 예측불허이다. 김선일씨 피랍사태는 파병철회 및 군대철수가 요구사항이라는 점에서 지난 4월 발생한 일본인 3명 피랍사건과 유사하다. 이 점에서는 정부와 관련기관의 협상과 설득을 통해 석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당시 일본인들은 군대와 무관하고 이라크에 우호적인 언론인 및 비정부기구(NGO) 회원들이었다. 이에 반해 김선일씨는 미군에 물자를 납품하는 업체의 직원이라는 점에서 한국 정부가 석방조건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 앞서 일본 정부는 2개월여 전 이라크에서의 일본인 억류사건을 협상을 통해 성공적으로 해결했다. 사건발생 초기 일본 정부는 무장세력의 정체파악도 못하고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무장세력을 '테러리스트'로 지칭, 납치단체의 반발을 초래하면서 협상이 엉클어지는 등 장기화 조짐이 역력했다. 그러나 언론과 전문가들이 중국과 러시아 억류자들의 석방에 영향력을 발휘한 이슬람 종교위원회의 존재에 주목하면서 일본 정부도 방향을 전환, 종교위원회와 이라크 전국부족협회 등 현지 지도층에게 일본인 피랍자들의 석방 협력을 호소한 것이 사태해결의 실마리가 됐다. 당시 이슬람종교위원회는 "점령군에 협력하지 않는 민간외국인을 인질로 잡아서는 안되며 그들을 정중히 대하고 석방하라"는 문서를 작성, 무장세력에게 전달함으로써 평화적인 사태해결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일본 정부는 요르단 수도 암만의 일본대사관에 외무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긴급 대책본부를 설치, 이라크연합군 임시행정처(CPA)와 협의 아래 억류장소와 무장세력의 정체파악에 주력했다. 이와함께 경찰청의 국제테러 긴급 전개팀을 파견, 무장세력과 접촉을 벌였다. 가와구치 요리코 일본 외무장관은 알 자지라TV에 출연, 석방을 호소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일본인들이 풀려난 결정적 요인으로 △이라크종교위원회의 석방노력과 △피랍자들이 이라크 국민에게 우호적으로 활동한 인물이라는 사실이 알 자지라TV 등 현지 언론을 통해 보도된 점 등을 꼽고 있다. 이정훈 기자 lee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