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김선일씨 피랍사건이 자칫 국내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 이라크 재건사업에 불똥을 튀길 가능성에 주목하며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이라크 무장세력의 인질납치 사건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이라크 재건사업이 대거 차질을 빚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러 리스크가 가시화된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의 사업참여 의욕이 한풀 꺾일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일단 이번 사건이 국내 기업들의 이라크 재건사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라크 재건사업 규모가 5백50억달러(연합군 임시행정처 추정)에 이를 만큼 큰 데다 국내 경기가 장기 침체로 이어지면서 이렇다 할 사업거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건설 등 유관분야 기업들이 이같은 '호기'를 놓치려 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김선일씨 납치 사건이 단기적으로 국내 기업들의 이라크 재건 사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며 "그러나 인질사건이 장기화되거나 또 다시 발생하게 되면 직원들 안전을 우려하는 국내 기업들의 이라크 재건사업 참여 의지도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이라크 재건사업과 관련, 한국 업체가 수주한 대형 공사는 지난 2월 현대건설이 따낸 2억2천만달러(약 2천6백억원) 규모의 재건 공사가 유일하다.


그러나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라크 발전소 개ㆍ보수 사업 참여에 대한 수주 협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2천3백여개 단위 프로젝트별 하청 방식의 중소기업 참여도 기대되고 있다.


특히 한국은 현재 이라크 재건사업을 관리하는 이라크 재건 핵심그룹(core group)에 미국 영국 캐나다 쿠웨이트 등 11개 국가와 함께 참여하고 있어 향후 이라크 재건사업 참여기회를 넓힐 유리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 1ㆍ4분기중 이라크를 포함한 중동 지역의 플랜트 수주 실적은 12억4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 실적(1억9천만달러)보다 무려 5백54% 증가하는 등 '중동 특수'를 누리고 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