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核포기땐 정권 보장" ‥ 3차 6자회담 개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개국은 23일 오후 베이징 조어대(釣魚臺)에서 제3차 6자회담 개막식을 갖고 '북한의 핵폐기 첫 단계로서 검증을 수반하는 핵 동결'에 관해 구체적인 협의에 들어갔다.
오는 26일까지 진행되는 3차 6자회담 첫날 회의에서 미국은 처음으로 핵폐기와 잠정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북한도 처음으로 '동결 대 보상'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내놓았다고 한국 수석대표인 이수혁 외교통상부 차관보가 밝혔다.
이 차관보는 "한국도 종전의 3단계 해결방안의 틀에서 중유 지원 등 더 구체화한 안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미국이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의 핵폐기)로 대표되는 선 핵폐기 원칙을 고수해 오고, 북한이 동결 대 보상 원칙만 제안한 채 다른 참가국들에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을 것을 요청해온 종전과는 상황이 달라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따라 이번 회담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은 이날 회담에서 북한이 3개월간의 준비기간을 포함해 핵폐기에 나설 경우 대북 경제제재 해제, 협상 참가국들의 대북 중유제공, 북한에 대한 잠정적인 안전보장 등을 약속했다.
북한은 핵 동결의 4대 요소인 범위 검증방법 기간 개시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개막식에서 "미국이 CVID 원칙을 철회하고 대북 적대시 정책을 행동으로 포기하면 모든 핵무기계획을 투명성 있게 포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북한이 농축 우라늄을 포함한 모든 핵프로그램을 국제감시 하에 투명하게 포기하면 대북 중유지원에 동참하고 북한에 잠정적인 다자간 서면 안전보장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6자회담에 참가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북ㆍ미가 구체적인 안을 내놓았지만 핵동결의 범위 등에 대해 북ㆍ미간 입장차가 뚜렷해 협상을 낙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밝혔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