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에 주상복합건축을 장려하는 도시정책을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서울시는 종로 중구 등 기존 강북지역 도심지의 '도심공동화 및 슬럼화'를 막기 위해 이들 지역에 대해 아파트와 상가기능을 동시에 갖춘 주상복합건물 건설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도시과밀화'를 초래한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3일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이들 지역의 고층개발을 위한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확정할 방침이었으나 이같은 반대여론에 부딪쳐 보류했다. 서울시는 내달 7일 재상정할 계획이지만 반론이 워낙 거세 원안대로 통과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서울시는 최근 종로 세운상가 구역을 비롯 중구 장교, 명동, 회현, 종로구 도렴구역 등 도심 재개발 구역에 있는 건물의 주용도를 주거용으로 지정하고 이곳에서 주상 복합건물을 지으면 용적률을 주거비율에 따라 50∼1백%까지 추가로 올려주는 도시계획방침을 결정한 바 있다. 또한 이 구역 내 주상복합 건물의 최고높이도 대폭 완화해 기존의 50m, 70m, 90m까지 지을 수 있던 것을 각각 75m, 1백5m, 1백35m까지 올려 지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도심주거 인구가 5만명으로 급격히 감소, 도심 공동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면서 "주상복합건물 건립을 유도해 밤낮으로 활기찬 도심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의 이같은 계획에 대해 일부 도시계획전문가들과 관련 시민단체들은 '도심 과밀화가 우려된다'며 기본계획 변경안 철회를 강력히 요구해 왔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 등 도시계획 전문가 및 시민단체들은 지난달 25일 기자회견을 열어 "초고층 주상복합이 난립하면 종묘나 창덕궁, 경복궁 등 역사 문화 공간과 북악산, 인왕산, 남산 등의 조망이 크게 훼손될 뿐 아니라 역사ㆍ문화ㆍ업무기능 역시 저해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도심부의 높이 기준을 90m 이하로 유지하도록 한 상위계획인 '청계천복원에 따른 도심부발전계획안'과도 상충된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