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앵커는 방송사를 대표하는 얼굴. 중견 방송인들의 모임인 여의도클럽은 26일 오후 4시 수원 KBS연수원에서 '디지털 방송시대앵커의 대응전략과 과제'란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한다. 최창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될 이날 행사에서는 각 방송사의 유명 앵커와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해 바람직한 앵커상에 대해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김기태 호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미리 배포한 발제문을 통해 한국적 앵커 시스템의 정착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제는 미국식이나 영국식 등 여러 형태의 앵커 시스템 가운데 우리 환경에 맞는 시스템을 정할 필요가 있다"면서 "앵커의 권한을 더욱 강화하는 시스템을일부 프로그램에 한정해서라도 과감하게 도입할 것"을 권유했다. 이어 그는 △저널리스트로서의 권위와 책임감을 잃지 않을 것 △기계적인 전달을 넘어 뉴스 분석자로서의 역할을 할 것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선발·평가 시스템도입 △40-50대 남성 기자와 20-30대 여성 아나운서의 더블 앵커라는 고정된 틀 극복 등을 제안했다. KBS 아나운서실장을 지낸 김상준 아나운서는 △단모음화(현대-헨대, 장관-장간,천원[처눤-처넌]) △모음상승(하고자-하고저, 바람-바램, 언제-은제) △전설모싫?드리다-디리다, 들르다-들리다) △연음규칙 오류(봄빛을[봄비츨-봄비슬], 밤낮으로[밤나즈로-밤나스로], 흙을[흘글-흐글], '끊김[끈킴-끈김]) △경음과 격음의 오용(간단하게-[간딴하게], 불법-[불뻡], 폭발[폭빨-폭팔]) △음운첨가(절약[저략-?략],참여[차며-참녀]) 등 방송 앵커가 자주 틀리는 발음 사례를 지적했다. 그는 중국의 지명·인명 표기와 발음에 대해 "북한처럼 현지음이 아닌 우리말한자음대로 표기하고 발음할 것"을 제안하는 한편 "한국어를 세련된 언어로 가꿔나가기 위해서는 합리적 성격의 관용어들도 과감하게 언어규범에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민숙 아모레퍼시픽 스토어 운영팀 강사는 앵커들의 이미지 메이킹 전략을 설명한 뒤 홍기섭·김주하·백지연 등은 '이지적·객관적·냉철함·호소력 있는 목소리', 강수정·윤현진 등은 '발랄·쾌활·트렌디한 스타일에 통통 튀는 이미지', 김병찬·황수경·김완태 등은 '부드러운 인상과 객관적·편안한 이미지'로 각각 이미지 메이킹한 사례로 분류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