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은행 노조가 지난 25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파업 후 첫 영업이 시작되는 28일부터는 한미은행 고객들이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은행측은 28일부터 거점점포를 운영키로 했으며 금융감독원도 64명의 인력을 한미은행에 긴급투입키로 하는 등 파업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노사간의 의견 차이가 팽팽한 상태라 파업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 39개 거점점포 운영 하영구 한미은행장은 27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비상종합대책'을 발표했다. 한미은행은 우선 파업기간중 전체 2백23개 점포중 39개의 거점 점포와 공공기관에 입주한 18개 등 총57개 점포를 정상운영키로 했다. 이와 함께 인터넷뱅킹과 모든 자동화기기를 정상 운영하고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고 있는 우체국 지점망 등을 활용해 예금 입출금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은행 운영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전산센터를 원활히 운영하기 위해 50명의 전산요원을 확보,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이밖에 월말이라 중소기업 자금흐름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신규대출을 실시하기보다 기존 거래업체의 어음할인이나 구매자금 대출 등에 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아울러 당좌거래 기업을 위해 전 영업점에서 어음교환 업무를 취급키로 했다. 금융감독원도 28일부터 한미은행 점포 32개에 점포당 2명씩 64명의 인력을 긴급 투입키로 했다. 금감원은 사태가 악화될 경우 '예금대지급시스템'을 가동, 한미은행 각 지점의 인근에 소재한 다른 은행에서 한미은행의 입출금 업무가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 쟁점은 무엇인가 한미은행 노조의 요구사항은 총 38개다. 고용보장, 근로조건 및 조직문화 유지, 한미은행 상장폐지 철회 등 11개 조항과, 임단협과 관련된 나머지 부분들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이견이 큰 부분은 임단협과 관련된 부분이다. 노조는 현재 한국노총 가이드라인인 10.7%의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밖에도 씨티은행 서울지점과의 통합에 따른 위로금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하영구 행장은 "임단협 부분은 금융노조와 은행 경영진 간에 진행되고 있는 공동단체협상이 마무리된 이후에 처리하고 나머지 사항들에 대해 우선 타결하는 것이 빠른 방법"이라고 밝혀 노조와의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 ◆ 장기화 가능성도 배제 못해 금융계에서는 그동안 한미은행의 파업이 길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 왔다. 그러나 하영구 행장은 "노조와의 입장 차가 크다"고 밝혔고 서민호 노조위원장도 "무(無)에서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하고 있어 파업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파업이 길어지면 자금과 결제수요가 급증하는 월말과 반기말을 맞아 어음결제업무 차질이 불가피하며, 이로 인해 중소기업 등 고객들의 불편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또 전산업무에 지장이 초래되면 금융결제원의 공동전산망을 이용하는 다른 금융회사들까지 영향을 받게 돼 금융권 전체에 미치는 파장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은행 공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임단협과 맞물려 은행권 전체가 노사갈등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