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일씨 피살사건'을 조사중인 감사원은 이라크 한국대사관이 김씨의 실종 후 3주간이나 이 사실을 몰랐던 것은 정부의 정보수집체계에 큰 허점을 노출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그 이유를 규명하는데 이번 조사의 중점을 두기로 했다. 전윤철(田允喆) 감사원장은 2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사건이 발생한 바그다드가 이번 사건의 씨앗"이라며 "바그다드 현지공관에 대한 조사에 지금으로서는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전 원장은 "김씨가 어떤 상태인지, 어떤 집단에 납치됐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수집돼야 협상 등 대처를 할 수 있는데 지금으로서는 외교부와 현지 대사관이 아무것도 몰랐다"며 "현지 대사관이 이를 왜 인지하지 못했느냐를 밝히는게 이번 조사의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전 원장은 특히 "가나무역과 이라크 한국대사관간 거리는 60마일로 자동차로 30-40분 거리"라며 "가나무역 김천호 사장이 4번이나 현지 한국대사관을 드나들었지만그 과정에서 (피랍에 대해) 아무 얘기가 없었다는데 일말의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지적했다. 감사원은 바그다드의 치안 악화를 고려, 오는 29일 문태곤 감사원장 비서실장을단장으로 하는 7명의 현지 조사단을 인접국인 요르단 암만으로 보내 10일간 대사관직원 및 교민들을 대상으로 조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감사원은 특히 김씨의 피랍 직후 교민사회에서 이같은 소문이 돌았는데도 대사관이 아무런 조치를 않은 사실이 드러날 경우, 관련자를 엄중 문책할 방침이다. 또 사건의 전모를 규명할 수 있는 핵심 정보를 가진 것으로 여겨지는 가나무역김천호 사장에 대해서는 현지 대면조사를 우선으로 하되, 국내 입국시에는 감사원으로 소환조사할 방침이다. 감사원은 현지조사단 파견에 앞서 28일 오전 외교부 등에서 본격적인 현장감사에 들어가는대로 김씨의 실종일인 5월31일 이후 이라크 한국대사관과 외교부 본부간오고간 전문 보고서의 내용을 조사할 예정이다. 한편 감사원은 외교부 직원과 AP통신간의 피랍확인 통화에 대해서는 증거확보를위해 KT로부터 6월3일을 전후한 외교부 통화내역의 입수를 추진키로 했다. 지난 25일 실시된 감사원의 외교부 예비조사에서는 공보관실과 아중동국의 사무관과 공보관실 여직원 등 3명이 AP와 통화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한 관계자가 전했다. 전 원장은 이에 대해 "단순한 전화통화 내용이면 외교부의 고위층까지 보고가안될 수 있지만 이라크 한국대사관에서 현지상황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면, 외교부사무관이 보고하지 않은 것은 위기관리체계에 허점을 노출한 것"이라며 "이 문제는철저히 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씨의) 실종 상황에서 AP라는 유력 언론사가 문제를 제기했다면 실무자도 비중을 둬 처리했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외교부의 보고체계를 자세히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감사원은 정부의 정보수집체계를 전면적으로 점검하게 될 이번 조사의 성격상국가정보원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AP통신에 대해서는 강제조사가 불가능한만큼 공식적으로 협조를 구하기로 했다. 감사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조기에 발표한다는 방침에 따라 특별조사팀 감사인력을 당초의 16명에서 21명으로 증원, 20일간 조사를 실시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화영기자 quinte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