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민들은 오는 7월1일 주권 반환 7주년을맞아 화려한 기념식이 아니라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가두시위를 벌인다. 홍콩 재야단체연합인 민간인권전선은 29일 오는 7.1 가두시위에 참가할 예상 인원이 당초 예상한 10만명에 비해 3배 정도 많은 30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홍콩 시민 50만명은 지난해 7월1일 `기본법 23조(국가보안법)' 입법반대를 요구하는 대규모 가두시위를 벌여 중국 지도부를 당혹케했다. 범민주파 진영은 가두시위 구호와 관련, `권력을 시민들에게 돌려주라'거나 `2007년 행정장관 및 2008년 입법회 선거 직선제 실시'를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이들은 강경 구호를 포기하는 대신 `민주화 투쟁'과 `자유 수호', `희망 재점화', `홍콩 재건' 등 온건 노선의 요구사항을 공식 구호로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이처럼 이번 시위구호가 부드러워진 것은 중국 정부가 주권반환 7주년 기념일이반중(反中) 폭력시위로 비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유화책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먼저 일부 민주파 인사들의 중국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으며 민주화운동의 기수 천르쥔(陳日君) 천주교 홍콩 주교와도 잇따라 면담을 갖고 있다. 천르쥔 주교는 최근 가톨릭 주보를 통해 오는 7월1일 가두시위에 참여해 행정장관 직선제 수용을 거부한 중국 정부에 강력히 항의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둥젠화(董建華) 홍콩 특구 행정장관도 7.1 가두시위를 앞두고 시위에서 표출되는 시민들의 견해를 겸허하게 수용하겠다는 내용의 유화적인 성명서를 내놓았다. 둥 장관은 28일 "이번 시위에서 표출되는 주민들의 염원을 심각하게 받아들일것"이라고 약속하고 "우리 정부도 결점이 많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홍콩=연합뉴스) 권영석 특파원 yskw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