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외환위기를 전후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각국 경제의 성장 및 생산ㆍ소비 등의 패턴에 대한 연구 논문들이 특히 주목을 모으고 있다. 이 중에서도 강성진 고려대 교수와 야스유키 사와다 도쿄대 교수는 '신용경색과 가계복지, 외환위기 이후의 한국 사례'라는 논문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이 보고서는 신용경색과 금융시장 위기가 가계와 개인들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집중 분석했다. 돈을 빌리거나 저축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면 평생 벌어들이는 소득을 가장 효율적으로 매년 나눠 쓸 것이기 때문에 평생동안의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하는 수준에서 소비를 결정하게 된다는 오일러(Euler)방정식에 신용제약(binding credit constraints)이라는 변수를 새로 집어넣었다. 연구 결과는 가계부문이 종전의 소비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집이나 주식 등 자산을 거의 처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998년 가계부문에서 줄어든 자산은 2%에 불과했다. 한국의 가계부문은 내구재(세탁기 냉장고 등)와 외식 레저활동 등 사치성 소비를 63%나 줄임으로써 외부 충격을 흡수했으며, 음식소비와 건강유지비 교육비 등도 15∼20%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 외환위기 이후 가계소비가 이처럼 줄어든 것은 한국의 가계대출이 1998년 32% 감소(전년대비)했고 신용카드 연체율은 20.3%에 달하는 등 가계가 돈을 빌릴 수 있는 능력(신용제약)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논문은 지적했다. 이같은 각종 통계치들을 모아 계량모델에 적용한 결과 외환위기 이후 한국 가계부문의 '복지 수준'은 45%나 하락했다고 보고서는 결론지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