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병 찬성' 반대론 앞질러 ‥ 800명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나무역 직원 김선일씨 피살 사건 이후 국내 여론이 이라크 추가 파병 지지 쪽으로 이동하면서 파병 찬성론이 반대론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리서치 앤 리서치(R&R·대표 노규형)는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제주도 제외) 8백명을 대상으로 이라크 추가 파병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응답자의 54.3%가 추가 파병을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4일 밝혔다.
반면에 정부의 추가파병 방침을 철회해야 한다는 응답은 절반에 못미치는 36.7%에 그쳤다. R&R는 특히 테러가 잇따르고 미군의 이라크 안정화 작업이 악화일로를 걷던 지난 4월 파병 철회 의견이 50.2%로 파병 찬성(41.4%)을 웃돌았던 것과 비교할 때 김씨 피살 이후 파병 찬성 여론이 공감대를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R&R는 또 응답자 분포를 보면 파병 추진 응답은 △남자(63.9%) △고연령층(50대 이상의 경우 60.2%) △자영업(67.3%)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자(61.0%) △열린우리당(62.2%) 및 한나라당(63.6%) 지지자에서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파병 철회 응답은 △여자(43.8%) △저연령층(20대의 경우 48.4%) △학생(47.0%) △민주노동당 지지자(66.1%)에게서 높았다.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46%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리서치 앤 리서치(R&R·대표 노규형)는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제주도 제외) 8백명을 대상으로 이라크 추가 파병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응답자의 54.3%가 추가 파병을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4일 밝혔다.
반면에 정부의 추가파병 방침을 철회해야 한다는 응답은 절반에 못미치는 36.7%에 그쳤다. R&R는 특히 테러가 잇따르고 미군의 이라크 안정화 작업이 악화일로를 걷던 지난 4월 파병 철회 의견이 50.2%로 파병 찬성(41.4%)을 웃돌았던 것과 비교할 때 김씨 피살 이후 파병 찬성 여론이 공감대를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R&R는 또 응답자 분포를 보면 파병 추진 응답은 △남자(63.9%) △고연령층(50대 이상의 경우 60.2%) △자영업(67.3%)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자(61.0%) △열린우리당(62.2%) 및 한나라당(63.6%) 지지자에서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파병 철회 응답은 △여자(43.8%) △저연령층(20대의 경우 48.4%) △학생(47.0%) △민주노동당 지지자(66.1%)에게서 높았다.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46%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