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정 대표는 현재 노ㆍ사ㆍ정ㆍ공익위원으로 구성된 노사정위원회에 시민단체 또는 정당을 추가 참여시키고 산하에 '업종별 협의회'를 두는 방안을 본격 논의키로 했다.

김대환 노동부 장관, 김금수 노사정위원장,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 이수영 경총 회장, 박용성 대한상의 회장 등 대표자 6명은 5일 서울 경총회관에서 노사정대표자 회의 2차 모임을 갖고 △노사정위 성격 △논의 의제 △명칭 △참여주체 △업종별 협의회 구성 등 5개 핵심 쟁점에 대해 오는 8월까지 결론을 내기로 합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노사정 대표들은 참여주체와 관련, 지금처럼 노ㆍ사ㆍ정ㆍ공익의 구성을 유지하는 안과 시민단체 또는 정당을 추가하는 안을 본격 논의키로 했다.

업종ㆍ산업 차원의 노사공통과제와 정책 사안을 협의하기 위한 '업종별 협의회의' 구성 필요성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재계는 그동안 "노사정위를 자문기구로, 합의가 아닌 협의기구 형태로 운영하고, 경제ㆍ산업정책에 관한 논의는 배제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반면 노동계는 "실질적 사회적 교섭기구로서 노사정위의 위상과 기능을 강화하고 의제도 경제ㆍ사회ㆍ산업정책 등으로까지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맞서 왔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