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디자인 선호도] 디자인이 경쟁력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소비재 제품들의 디자인 수준은 1백점 만점에 71.4점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67.3점에 비해 4점 가량 높은 점수여서 한국산업의 디자인 경쟁력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은 총 5개분야,1백12개 제품군의 디자인선호도 1위 기업들을 선정해 제5차 '한국산업의 소비자 디자인 선호도(Korea Design Power IndexㆍKDPI)'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소비자 디자인 선호도는 제품의 디자인 경쟁력과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능률협회컨설팅이 고객의 관점에서 개발한 디자인 평가방법.
상품 구매시점에서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선호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다.
◆ 생활가전제품의 디자인 수준 향상 =올해 KDPI 조사에서는 흔히 백색가전이라 불리는 생활가전제품의 디자인 수준이 예년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제까지 정보통신 관련 제품들이 최고 수준으로 조사됐던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이라는게 능률협회컨설팅의 설명.
이는 국내 가전업체들이 잇달아 프리미엄 생활가전 브랜드를 출범시키고 신규 투자를 아끼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디지털가전제품을 중심으로 신규 수요가 많이 늘어났던 것도 디자인 수준 향상을 촉진시켰다.
◆ 제품 주기 짧을 수록 디자인활동 활발 =트렌드에 민감한 제품군일수록 기업들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 크고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디자인 수준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패션디자인의 경우 트렌드가 곧 디자인으로 귀결될 만큼 디자인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소비자의 니즈가 큰 분야인데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어 패션산업의 전망을 밝게 했다.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제품군들은 급속한 진화를 거듭하며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 시도를 지속해 오고 있다.
올해는 특히 노트북, 핸드폰, MP3 플레이어, PDA 제품들의 디자인 수준 향상이 두드러졌다.
◆ 어떻게 조사했나 =능률협회컨설팅은 1대1 개별면접 조사와 인터넷 디자인 조사를 병행 실시했다.
조사 대상은 국내에서 소비활동을 하는 한국인으로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60세 미만의 남녀였다.
조사 지역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 등이었다.
표본추출방법으로는 인구ㆍ지역비례에 따른 유의할당표본 추출법을 사용했으며 표본수는 2만명이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
이는 지난해 67.3점에 비해 4점 가량 높은 점수여서 한국산업의 디자인 경쟁력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은 총 5개분야,1백12개 제품군의 디자인선호도 1위 기업들을 선정해 제5차 '한국산업의 소비자 디자인 선호도(Korea Design Power IndexㆍKDPI)'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소비자 디자인 선호도는 제품의 디자인 경쟁력과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능률협회컨설팅이 고객의 관점에서 개발한 디자인 평가방법.
상품 구매시점에서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선호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다.
◆ 생활가전제품의 디자인 수준 향상 =올해 KDPI 조사에서는 흔히 백색가전이라 불리는 생활가전제품의 디자인 수준이 예년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제까지 정보통신 관련 제품들이 최고 수준으로 조사됐던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이라는게 능률협회컨설팅의 설명.
이는 국내 가전업체들이 잇달아 프리미엄 생활가전 브랜드를 출범시키고 신규 투자를 아끼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디지털가전제품을 중심으로 신규 수요가 많이 늘어났던 것도 디자인 수준 향상을 촉진시켰다.
◆ 제품 주기 짧을 수록 디자인활동 활발 =트렌드에 민감한 제품군일수록 기업들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 크고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디자인 수준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패션디자인의 경우 트렌드가 곧 디자인으로 귀결될 만큼 디자인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소비자의 니즈가 큰 분야인데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어 패션산업의 전망을 밝게 했다.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제품군들은 급속한 진화를 거듭하며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 시도를 지속해 오고 있다.
올해는 특히 노트북, 핸드폰, MP3 플레이어, PDA 제품들의 디자인 수준 향상이 두드러졌다.
◆ 어떻게 조사했나 =능률협회컨설팅은 1대1 개별면접 조사와 인터넷 디자인 조사를 병행 실시했다.
조사 대상은 국내에서 소비활동을 하는 한국인으로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60세 미만의 남녀였다.
조사 지역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 등이었다.
표본추출방법으로는 인구ㆍ지역비례에 따른 유의할당표본 추출법을 사용했으며 표본수는 2만명이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