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남북 화해협력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간의 정상회담 성사 여부와 시기 등을 놓고 여러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연내 열기위해 정부가 비공식적인 통로로 북측과 접촉하고 있으며 김 위원장이 2000년 약속대로 남한에 올 경우 정상회담 장소로 제주도가 유력하다는 설이 정부와 정치권에 유포되고 있다.

노 대통령이 방북한다면 금강산이 제1의 후보지라는 것.그 시기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는 11월 이전이며 광복절이나 경의선·동해선 철도가 시범운행되는 10월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시나리오는 최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수행하고 돌아온 김한정 비서관의 발언 이후 증폭되고 있다.

김 비서관은 믿을 만한 중국 정부 고위인사의 말을 인용,"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 4월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적절한 시기에 남조선을 방문할 것'이라고 직접 답방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 비서관은 '고위인사'가 누구인지에 대해선 밝히기를 거부했다.

이에 대한 청와대와 통일부의 입장은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6일 "북핵 문제가 구체적으로 해결될 조짐을 보여야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고 북한은 협력과 신뢰를 쌓아가는 등 '작지만 구체적인' 노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상회담 추진과 관련해 우리 입장이 북측에 전달된 바도 없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이날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회의에서 "정상회담이 임박해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며 "때가 되면 정상회담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승욱·정종호 기자 s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