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기존 경제상황 점검체계로는 경제위기를 사전에 감지하는데 미흡하다고 판단, 내수 고용 등 주요 부문별 경기속보지표를 추가 개발하고 대통령 주재로 매달 한 차례씩 경제정책협의회를 열어 경제위기 가능성에 미리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전력사용량 철도화물수송량 고속도로통행량 등 월간단위로 집계되는 '속보성 지표'를 주간단위로 집계하고, 자동차 판매대수와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등 경제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신규 지표를 추가 개발키로 했다.

또 경제위기 여부를 조기에 감지하기 위해 기존의 외환위기 조기 경보시스템 외에 금융ㆍ원자재ㆍ부동산ㆍ노동부문의 조기 경보시스템을 오는 9월까지 구축키로 했다.

정부는 6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경제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정책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방침을 정했다.

월간단위에서 주간단위로 집계가 바뀌는 지표에는 광고비, 레미콘 출하량, 신행정수도 예정지역 지가, 가계ㆍ중소기업 대출 등이 포함되며 신규 지표에는 지역별ㆍ성질별 수출입 자료가 들어간다.

새 지표 작성을 위해 개별 기업의 협조가 필요한 부분과 전산시스템의 개편을 제외한 상당부분은 개발이 끝났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발표 중인 공식 통계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1월 말 노 대통령 주재로 열린 같은 회의에서 경제위기를 사전에 감지ㆍ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조기 경보체제를 구축키로 했으며 3월부터 종합 점검시스템을 마련해 운영 중이다.

허원순ㆍ현승윤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