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권.투신산업 '영세'..4대 증권사 총자산 美의 130분의 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증권·투신산업이 미국에 비해 여전히 영세하고 수익구조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4대 증권사의 총자산은 미국의 1백30분의 1,자기자본은 16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2003사업연도 기준으로 삼성 LG투자 대우 현대 등 국내 '빅4' 증권사의 총자산은 29억7천만달러인 데 비해 미국 4대 증권사(2000사업연도 기준)의 총 자산은 3조8천3백37억달러에 달했다는 것이다.
자기자본의 경우도 국내 대형사는 총 11억5천만달러,미국 대형사는 총 1백80억5천만달러였다.
수익구조의 경우 국내 증권사는 위탁매매 편중이란 한계를 드러냈다.
2002사업연도 기준으로 국내 증권사의 수익 의존도는 위탁매매가 63%로 가장 많고 이어 펀드판매(23%),기업금융(6%),자기매매(4%)의 순이었다.
반면 미국은 기업금융이 49%로 가장 앞서고 자기매매(22%),위탁매매(14%),펀드판매(3%) 등이 뒤를 이었다.
펀드도 숫자에 비해 규모가 너무 작은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 5월 말 현재 국내에서 운용 중인 펀드는 7천7백54개로 미국의 8천1백21개(2004년 4월 말 기준)에 크게 뒤지지 않았다.
그러나 펀드 1개당 규모는 한국이 2백9억원,미국은 1조1천억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펀드 유형도 한국은 주식형이 5%에 불과하고 초단기운용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가 35%에 달한 반면 미국은 주식형이 51%,MMF는 26%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영업규제 완화를 통한 증권사의 수익기반 확대와 펀드간 합병을 통한 펀드 대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4대 증권사의 총자산은 미국의 1백30분의 1,자기자본은 16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2003사업연도 기준으로 삼성 LG투자 대우 현대 등 국내 '빅4' 증권사의 총자산은 29억7천만달러인 데 비해 미국 4대 증권사(2000사업연도 기준)의 총 자산은 3조8천3백37억달러에 달했다는 것이다.
자기자본의 경우도 국내 대형사는 총 11억5천만달러,미국 대형사는 총 1백80억5천만달러였다.
수익구조의 경우 국내 증권사는 위탁매매 편중이란 한계를 드러냈다.
2002사업연도 기준으로 국내 증권사의 수익 의존도는 위탁매매가 63%로 가장 많고 이어 펀드판매(23%),기업금융(6%),자기매매(4%)의 순이었다.
반면 미국은 기업금융이 49%로 가장 앞서고 자기매매(22%),위탁매매(14%),펀드판매(3%) 등이 뒤를 이었다.
펀드도 숫자에 비해 규모가 너무 작은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 5월 말 현재 국내에서 운용 중인 펀드는 7천7백54개로 미국의 8천1백21개(2004년 4월 말 기준)에 크게 뒤지지 않았다.
그러나 펀드 1개당 규모는 한국이 2백9억원,미국은 1조1천억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펀드 유형도 한국은 주식형이 5%에 불과하고 초단기운용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가 35%에 달한 반면 미국은 주식형이 51%,MMF는 26%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영업규제 완화를 통한 증권사의 수익기반 확대와 펀드간 합병을 통한 펀드 대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