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자산 4조원 규모의 군인공제회에 대한 검찰 수사가 어디까지 확대될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검찰 수사는 통일중공업 주가조작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군인공제회 직원의 비리가 포착돼 시작됐기때문에 일단 금융투자 관련 부분에만 집중될 전망이다.



그러나 군인공제회가 외환위기 이후 기업인수합병(M&A),아파트건설,금융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확대하면서 급성장하는 과정에서 감춰진 비리가 포착될 경우 "전면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군은 물론 재계에도 적지않은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돼 검찰의 수사 향방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검찰은 이번 수사를 △군인공제회 금융투자 부분의 조직 및 개인 비리 △주상복합아파트 특혜분양 의혹 등 2개 부문으로 나눠 진행할 계획이다.



이준보 서울중앙지검 3차장은 9일 "통일중공업 주가조작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군인공제회 직원의 비리가 포착됐다"며 "앞으로 군인공제회의 금융투자 관련 부분에 대해 집중 수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이를 위해 이미 군인공제회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여 회계장부 등 관련 서류를 확보,분석작업에 들어갔다.



고위간부 10여명도 출국 금지시켰다.



일단 이번 비리 수사에만 초점을 맞춘다는 계획이지만 경우에 따라 수사가 확대될 수도 있다.



검찰 관계자도 "투자 쪽 수사는 금융투자 부분을 위주로 이뤄지겠지만 수사 도중 다른 내용이 나오면 그것도 수사 대상이 될 것"이라고 언급,수사가 전면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이번 검찰 수사가 공제회의 방만한 기금 관리 및 운용에 대한 '대수술'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군인공제회는 외환위기 이후 막강한 자금동원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업을 펼치면서 단기간에 급성장했다.



하지만 투자를 위한 정보 수집과 의사결정 과정,전문성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기금 운용과 관련한 투명성이나 국방부 또는 외부기관의 감사시스템이 미흡하다는 문제점도 제기돼 왔다.



작년 국감에서는 민주당 박양수 의원이 주식 투자가 금융투자 총액의 3.5%를 넘기지 못하도록 한 내규를 어기고 군인공제회가 금융투자액의 33%인 4천1백47억원을 주식에 투자해 1백52억원의 손실을 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검찰은 또 군인공제회가 내규를 어기고 주식 등에 과다하게 투자,1년3개월만에 4백76억원의 손실을 냈다는 국정감사 지적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수사가 전면전으로 확대될 경우 군은 물론 재계에도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군인공제회가 직·간접 투자 등을 통해 금융 건설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한 상태여서 어떤 식으로든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그러나 이번 사건이 군인공제회 직원의 개인비리 차원에서 마무리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 군인공제회는 설립 후 지금까지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갖추고 회원들에게는 높은 수익을 안겨줬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군인공제회 고위 관계자도 "검찰 수사를 지켜봐야겠지만 개인 비리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서초동 주상복합아파트 특혜 분양건의 경우 검찰은 "아직까지 법 위반 사실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법리 검토 작업을 해 추가로 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혀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