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산자부 노동부 등 인적자원 개발관련 3개 부처가 산ㆍ학 연계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주요 업종별로 기업 대학 등이 함께 참여하는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를 구성,이를 기업과 대학간 의사소통의 핵심창구로 활성화하자는 것이 골자다.

앞으로 기업측이 필요인력의 규모와 분야를 산출하면 대학은 이에 근거해 구체적인 이공계 교육 커리큘럼과 함께 전공분야별 입학정원을 결정하는 등 인력수급 불일치 해소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한다.

얼마 전 본사 주최 한경 밀레니엄 포럼에서 안병영 교육부총리는 인력수급 불일치 해소를 고교평준화 보완,대학구조 개혁,교육 개방과 함께 4대 교육현안의 하나로 적시했다.

그만큼 이 문제가 심각하다는 뜻이다.

인력수급의 양적ㆍ질적 불일치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는 이공계 위기라든지 높은 청년실업률 등에서도 잘 나타난다.

불일치가 심화되면 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고 이는 다시 대학의 경쟁력 위기를 초래하는 등 결국 국가 경쟁력마저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것이 대학이나 기업 어느 일방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데 있다.

대학과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지 않으면 결코 해결될 수 없다는 얘기다.

우리보다 앞서 산업구조 변화를 겪었던 영국이 20여개 업종별로 '산업별 협의회'를 구성,산업별 교육ㆍ훈련 수요 분석,인적자원 개발계획 수립 등을 해오고 있는 것도 그런 정책적 시사점을 던져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것이다.

우리는 이런 모델이 전산업으로 확산돼야 한다고 본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협의체 구성은 반도체 조선 철강 등 8개 주력기간 산업에다 e비즈니스를 포함한 9개 업종이 그 대상이라고 한다. 하지만 나노 등 신기술 산업에도 눈을 돌려야 할 것이고 산업간ㆍ기술간 융합분야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앞으로 있을지 모를 불일치를 미리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최근 많이 거론되고 있는 지역혁신만 해도 지역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력을 지역 대학에서 길러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본다.

인력양성도 제대로 못하는 상황에서 산ㆍ학간 연구협력을 논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런 의미에서 산업별 협의체를 지역별로 세분화하는 것도 좋은 방안 가운데 하나라고 본다.

산업별 협의체 구성이 인력수급 불일치를 해소하고 산ㆍ학 연계 인력양성 시스템이 자리잡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