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무역 김천호 사장은 12일 고(故) 김선일씨 석방 협상과 관련, "바그다드에서 성직자협회나 무장단체측 등 2-3곳을 더 만났다"며 여러 경로의 접촉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김 사장은 이날 오전 감사원 3차 출석조사에 앞서 "현지 변호사가 무장단체측과만난 것은 팔루자에서 한번 뿐이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김 사장은 그러나 "무장단체로부터 구체적인 협상 요구조건은 없었으며 현지 변호사를 통해 `금방 풀어주겠다'는 연락만 받았다"며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김 사장은 "무장단체로부터 기독교 선교 중지를 요구받았느냐"는 물음에는 "우리는 선교활동을 한게 아니며 이라크에 온 한국인이나 비정부기구(NGO)의 어려움을도와줬을 뿐"이라며 이번 사건과 선교활동의 연관성을 부인했다.

그는 이라크 주재 한국대사관이 아닌 교회 관계자들에게 김씨의 실종을 알린 것과 관련해 "교회 관계자들에게 무슨 도움을 기대했나"라는 질문을 받자 "실종된 김씨를 찾고 있는 상황에서 기도를 부탁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감사원은 이날 조사에서 김 사장이 김씨 피랍 이후 무장단체측과 벌인 석방 협상 내용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감사원은 김씨를 납치한 무장단체가 협상 과정에서 돈이나, 사업중단을 요구하지 않았다면 선교활동 중단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이번 사건과 종교활동간의 연관 가능성에 조사를 집중했다.

감사원은 특히 김 사장의 초기 대처 과정을 좀더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바그다드에서 김 사장과 가깝게 사업활동을 했던 오무전기 황장수 부사장의 면담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감사원은 이밖에 가나무역 직원 P씨가 지난 4월 이라크 남부 나시리야에서 지구촌나눔운동의 한재광 사업부장과 함께 민병세력에 억류됐다 14시간에 풀려난 것에근거해 김 사장이 김씨의 석방을 낙관적으로 전망, 피랍에 안이하게 대처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였다.

감사원은 이라크 현지조사단의 이라크 한국대사관 교민보호실태에 대한 조사결과에 근거, 외교통상부를 상대로 재외국민 보호체계에 대한 조사도 함께 실시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화영기자 quinte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