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논란을 빚어온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 문제와 관련,정부의 '연동제'와 총선 공약인 '원가공개' 사이에서 절충안을 모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있다.

열린우리당은 12일 국회에서 공청회를 갖고 분양원가 공개에 대한 최종 입장을 결정하기에 앞서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

박상돈 의원은 이날 공청회에서 "정부와 시민단체가 주택가격 안정이라는 목표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만큼 더이상 양보 없는 주장만 해서는 안된다"며 "분양가를 낮춘다는 근본적 목적에 부합되게 건교부 입장과 시민단체의 입장을 절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어 "분양원가를 모두 공개하도록 하면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어 분양가가 오히려 상승할 수 있다"며 "다만 아파트 분양가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해 줘야 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연동제와 원가 공개의 취약점을 상호 보완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병엽 제3정조위원장은 공청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원가의 전체 내역을 공개하는 데 많은 부작용이 따른다는 점에 어느 정도 공감대가 이뤄진 것으로 본다"며 "25.7평 이하에 대해 연동제를 도입하되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사항을 계약서에 첨부하는 식으로 원가를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홍재형 정책위원장도 "연동제를 기본으로 하겠지만 원가공개 개념이 많이 반영되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문제의 핵심은 건축비를 어느 정도까지 공개하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13일 천정배 원내대표 주재로 정책위원장단 회의를 열어 원가공개에 대한 당내 의견을 재차 수렴한 뒤 건교부와의 당정협의를 거쳐 오는 15일 정책의총에서 최종 당론을 결정할 방침이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