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생산성 대상] 최근 5년내 부문별 大賞업체서 종합대상 뽑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민국 생산성대상은 크게 4단계의 심사 절차를 통해 엄격하게 선정됐다.
본상 종합대상의 경우 최근 5년내에 각 부문별로 대상을 받은 경력이 있는 기업만을 후보군으로 선정, 응모자격을 부여했다.
부문대상의 경우 생산혁신 원가혁신 기술혁신 물류혁신 설비혁신 에너지혁신 보전경영 업무혁신 아이디어경영 등의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응모 접수와 함께 대한민국 생산성대상 평가항목에 맞게 작성된 공적서를 받았다.
이 자료를 기초로 전문가들이 서류를 정밀 심사했다.
이를 통과한 기업 및 제품에 대해 경영학 전공 교수, 산업공학 전공 교수, 연구기관의 전문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현장을 직접 방문, 심사를 진행했다.
심사위원회는 이들 심사 자료를 집계한 뒤 종합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최종 결정했다.
본상(종합대상 및 부문대상)의 경우 △관리자 리더십 △지휘관리 △지속적인 혁신 △핵심 능력 등 4개 부문을 기업의 생산성 혁신 성과를 심사하는 평가항목으로 잡았다.
특별상(제품 부문)의 경우 에너지혁신 제품부문은 제품별 △에너지 소모량 △에너지 효율, 기술개발 현황 △제품개발 과정 △시장 반응성 등 4개 부문을 주로 평가했다.
보전경영 제품부문에선 제품별 △보전업무 적용성 및 효과 △보전기술개발 현황 △제품개발 과정 △시장 반응성 등 4개 부문을 심사했다.
본상 종합대상의 경우 최근 5년내에 각 부문별로 대상을 받은 경력이 있는 기업만을 후보군으로 선정, 응모자격을 부여했다.
부문대상의 경우 생산혁신 원가혁신 기술혁신 물류혁신 설비혁신 에너지혁신 보전경영 업무혁신 아이디어경영 등의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응모 접수와 함께 대한민국 생산성대상 평가항목에 맞게 작성된 공적서를 받았다.
이 자료를 기초로 전문가들이 서류를 정밀 심사했다.
이를 통과한 기업 및 제품에 대해 경영학 전공 교수, 산업공학 전공 교수, 연구기관의 전문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현장을 직접 방문, 심사를 진행했다.
심사위원회는 이들 심사 자료를 집계한 뒤 종합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최종 결정했다.
본상(종합대상 및 부문대상)의 경우 △관리자 리더십 △지휘관리 △지속적인 혁신 △핵심 능력 등 4개 부문을 기업의 생산성 혁신 성과를 심사하는 평가항목으로 잡았다.
특별상(제품 부문)의 경우 에너지혁신 제품부문은 제품별 △에너지 소모량 △에너지 효율, 기술개발 현황 △제품개발 과정 △시장 반응성 등 4개 부문을 주로 평가했다.
보전경영 제품부문에선 제품별 △보전업무 적용성 및 효과 △보전기술개발 현황 △제품개발 과정 △시장 반응성 등 4개 부문을 심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