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도심과 농촌지역의 영화상영관 수가큰 격차를 보여 문화인프라 편중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14일 도내 영화계에 따르면 전주지역은 프리머스 시네마 9개관을 비롯해 롯데시네마 8개관, 전주 시네마 7개관, CGV 6개관, 아카데미아트홀 3개관, 태평극장 1개관등 모두 34개 영화관이 운영되고 있다.

여기에 올 하반기 영화의 거리인 고사동에 대한시네마가 10개관을 개관할 준비를 하고 있고 전주시 송천동 메가월드에 CGV가 10개관, 전북대 앞 쇼핑몰이 5개관, 영화전문 업체인 `㈜KTS E&C'가 고사동에 8개관을 갖춘 복합영상관을 속속 설립할 예정이어서 전주지역 영화관은 모두 68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전주 인구 62만명을 고려할 때, 1만명당 1개꼴로 치열한 관객유치 경쟁마저 예고된다.

인구가 15만-40만명인 정읍과 군산, 익산지역에도 5개 안팎의 영화관이 설치돼 지역의 문화욕구를 어느 정도 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4개 시를 제외한 나머지 10개 시.군에는 영화관이 한 곳도 없어 주민의 문화적 소외감이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주민이 영화를 관람하기 위해서는 1-2시간 이상 차를 타고 도시로 나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계속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시민영화제 상영 장소를 확보하지 못해 애를 태우는 등 지역의 자발적인 문화운동마저 원천봉쇄 당하고있다.

이처럼 농촌주민의 문화적 박탈감이 증폭되고 있는데도 행정기관은 영화산업계의 경쟁논리로 일축, 지역 인프라 구축에 뒷짐만 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70-80년대에는 군(郡)지역에까지 영화관이 설치됐으나 타산이 맞지 맞아 영화관이 점차 사라졌다"면서 "영화산업의 경제논리가 치열한 상황에서 행정기관이 마땅히 할 일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나 도내 문화계는 "행정기관이 적자를 보는 농촌의 시내버스 노선을 지원하듯 시골의 영화관을 지원하는 방안 등 적극적인 인프라 구축 노력이 절실하며 이같은 노력이 궁극에는 농촌을 살리는데도 큰 도움이 될 것"고 주장했다.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ic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