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중국 외교부가 부처 홈페이지(www.fmprc.gov.cn)에서 한국사를 소개하면서 3국에서 고구려 부분을 삭제한 것과 관련,서울과 베이징 외교채널을 가동해 심각한 우려를 전달하는 등 공식 항의했다.

김하중(金夏中) 주중 대사가 13일 왕 이(王 毅) 중국 외교부 부부장을 만난 데이어, 14일 오후 3시 최영진(崔英鎭) 외교차관이 리 빈(李 濱) 주한 중국대사를 외교부로 불러 최근 일련의 사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심각한 우려를 전달했다.

이는 중국내 일각의 고구려사 편입논란 이후 나온 정부의 첫 공식 조치라는 점에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신봉길(申鳳吉) 대변인은 "정부는 서울과 베이징에서 최근 중국 언론의 고구려사 왜곡보도 및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의 `고구려 삭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전달했다"며 "정부는 고구려사 왜곡문제로 한-중 관계의 미래에 부정적 영향이 초래되지않도록 중국정부가 충분한 주의와 성의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측은 "한국의 우려를 잘 이해하고 있으며, 이 문제가 양국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한국측에알려주겠다는 입장을 일단 표명했다"고 신 대변인은 덧붙였다.

외교부는 고구려사 논란과 관련, 중국이 우리와 정치적 해결 보다는 학술적 해결에 합의해놓고 공식적인 대외 표현수단인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고구려를 삭제한것은 명백한 합의 위반인 만큼 이를 집중적으로 따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외교부는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 그동안 문화외교국에서 다뤄온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시도 문제를 아시아태평양국 소관으로 넘겨 주목된다.

지난 2월 13∼15일 방한했던 중국 외교부 왕 부부장은 고구려사 편입논란에 대해 정부 차원이 아닌 학술차원에서 접근하자는 의견을 내놓았으며 한-중 양국이 이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중국 외교부는 홈페이지에서 한국의 역사를 소개하면서 한국은 `서기 1세기 이후 한반도 일대에서는 신라, 고구려, 백제 3개의 다른 정권 형태와 소속관계가 다른 국가가 형성되었다''는 문구를 지난 4월 20일 수정해 이 부분에서 `고구려'부분을 아예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외교부의 이러한 행위는 연초 중국내 일각의 고구려사 편입시도, 그리고이달초 신화통신.인민일보 등 관영언론의 `고구려는 (중국 왕조의) 지방정권' 보도에 이어 나온 것으로 정부 차원의 의도가 개입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인교준 기자 lye@yna.co.kr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