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현재 13개 정부기관이 전국 2천800여곳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상관측소의 각종 기상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관측 장비도 표준화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국가기상정보 공동활용시스템'을 구축하고 내년초 `기상관측표준화법'의 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15일 한덕수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13개부처 차관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상재해경감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국조실이 밝혔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5대강 유역의 홍수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기상청이하고 있는 강우 예측과 건설교통부가 맡고 있는 홍수 예측 정보를 앞으로 따로 관리하지 않고, 두 기관의 협력하에 교환 관리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소방방재청이 재난시 언론기관에 재난방송 요청권을 갖고 있는 것과마찬가지로 기상재해시 기상청장에게 기상방송 요청권을 줘 기상특보가 일반 국민에게 신속히 전달되는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정부는 매년 막대한 피해를 내는 태풍에 대해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연구가 이뤄지도록 기상청 산하에 `태풍예보센터'를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화영기자 quinte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