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남도청 회의실에서 15일 오후 열린 신행정수도 건설 호남권 공청회에서는 수도가 이전되는 충청권 이외에 다른 지역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로 제시됐다.

이건철 광주전남발전연구원 연구기획실장은 "수도이전은 충청권 이외 다른 지방의 인구나 자본의 역외 유출로 오히려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며 "낙후지역도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수도이전에 버금가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종현 광주전남시민연대 상임위원장은 "참여정부의 총론적인 개혁방향에 대해서는 찬성하지만 확실한 대책없이 수도이전을 추진했을 때는 인구와 자본이 연기.공주지역으로 모여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일태 전남대교수는 "수도이전은 수도권의 위상이 바뀌는 것인 만큼 연방개념도입 등 행정구역 개편 문제도 동시에 다뤄야 한다"고 전제한 뒤 이 지역 경쟁력을강화하기 위해 제조업 분야의 기업이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을 제안했다.

차성수 국가균형발전위 전문위원은 "수도권의 과밀화가 수도권의 성장을 오히려방해하고 있고 국가전체가 생명력을 잃고 있다"며 "참여정부는 수도와 공공기관 이전, 수도권 계획적 관리 등을 통해 선진국 진입전략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순관 순천대 교수는 "지방분권은 문제가 있더라도 일단 시행하고 그 다음에보완해야 한다"며 "중앙권한의 획기적 지방이양, 지방재정력 확충 등 재정분권의 추진 등 기본방향을 과감하게 추진해야 수도 이전이 성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신행정수도건설추진단 신원우 입지환경국장은 "수도권 집중에 따른 사회.경제.환경적 비용의 급증과 지역간 격차심화에 따른 국가경쟁력 저하로 국가발전이한계에 도달했다"며 "신행정수도 건설로 인구집중, 경제력집중, 권력집중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수도 이전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이날 공청회는 초청 대상자인 도내 주요 기관장과 지방의원 등이 상당수 참석하지 않아 큰 관심을 보였던 충청지역과는 달리 썰렁한 분위기속에서 진행됐다.

이에 앞서 윤성식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행정수도 이전 문제는 참여정부에 대한호불호를 따져 관련지어서는 안된다"며 "수도권은 항상 뛰는 선수이고 지방은 보결선수로 남아 있어서는 국토발전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광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bett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