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해킹사건으로 정부는 물론 기업에도 사이버 테러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이번 사건을 단순 해킹이 아니라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중대사건으로 인식하고 있다.

국가기밀정보 유출에 그치지 않고 국방전산망 금융전산망 등 국가기간망이 해커의 공격을 받아 혼란에 빠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다.

그야말로 '총성 없는 사이버전쟁'이 현실로 나타났다.

세계 각국은 해커부대를 양성하고 사이버 무기를 속속 개발하고 있다.

90년대 중반 이후 사이버전을 본격적으로 준비해온 국가는 미국 외에도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이스라엘 북한 쿠바 등 2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오래전에 공군 우주사령부가 주축이 돼 각 군에 분산돼 있는 사이버전 대비 프로그램을 통합해 종합적인 사이버전쟁 대비 전략을 수립했다.

또 컴퓨터 특공대를 별도로 양성하고 있다.

중국은 디지털기술을 도입하고 컴퓨터바이러스 등을 이용한 사이버전쟁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지난 97년 컴퓨터바이러스부대를 창설했고 각 지역사령부는 사이버전쟁 수행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2001년에 사이버테러 방지를 위해 1백29억엔의 예산을 편성했고 사이버전부대 창설계획을 내놓았다.

북한은 평양 자동화대학(옛 미림대학) 졸업생 가운데 수재들을 선발해 인민무력부 정찰국 예하 해킹부대 군관(장교)으로 발령하고 있다.

해킹 능력은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맞먹을 정도로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우리나라는 공격적인 사이버전을 수행하는 해킹 전담부대가 없고 방어에만 주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기회에 사이버전에 대비한 종합적인 대응체계를 서둘러 구축하고 관련 장비와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 기업들은 이미 해킹 방지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해킹으로 첨단기술이 유출될 경우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고 보고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S그룹의 경우 모든 계열사의 전산망에 이중ㆍ삼중의 방화벽을 설치한 것은 물론 인터넷망을 통한 정체불명의 패킷을 차단하는 보안장치도 마련했다.

e메일을 통해 직원들의 PC가 바이러스 등에 노출됐을 경우엔 사내게시판에 실시간으로 공지하고 있다.

L그룹도 물리적 보안시스템은 물론 외부 해킹 전문가를 통한 모의해킹, 직원들에 대한 정기적인 보안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ㆍ벤처기업들은 아직 보안의식이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최근 벤처기업협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경우 컴퓨터바이러스 백신을 제때 업데이트하는 회사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권석철 하우리 사장은 "국가든 기업이든 컴퓨터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사이버테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을 꾸준히 양성하고 보안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해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