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시장을 어떻게 유지해 가야 할지 정말 골머리 아프다."

노무현 대통령은 16일 신행정수도 건설과 관련,"건설업이 현재 우리 경제에서 16%를 차지하고 있는데 지금 내리막으로 가고 있다"며 "건설시장을 열고 그렇게 해서 국가가 발전하는 방향으로 사고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포항공대에서 열린 대구·경북지역 혁신발전 5개년계획 토론회에서 "어차피 (신행정수도는) 충청도에 짓지 않으면 서울 근교에 지어야 하며,어디에 지을 것이냐의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노 대통령은 "건설 결과는 국가의 자산이고 건설산업이 경기를 유지해 가야 경제가 활성화되고 국부가 축적되는 것"이라며 "왜 자꾸 안되는 쪽으로 쳐다보느냐"고 반문했다.

노 대통령은 또 "앞으로 경제 성장 수준의 건설시장을 어떻게 유지해 가야 할지 정말 골머리 아프다"며 (한나라당 주장대로) 1백조원이 들더라도, 10년간 계속 되더라도 (건설시장에서는) 연간 7~8%의 성장밖에 못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이 신행정수도 건설의 필요성을 건설경기와 관련해 설명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진다.

노 대통령은 지금까지 주로 국가 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화 해소나 정치적 관점에서만 필요성을 역설해 왔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신행정수도를 세우면 건설경기에도 결과적으로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경기 호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와 함께 노 대통령은 "수도권은 자기 발전의 길을 가고 지방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살 길을 찾아 달라"며 "이제 (지방은) 남의 동네 쳐다보지 말고, 수도권도 잊어버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관리 방침에 대해 "규제할 것은 규제하고 풀어줄 것은 풀어주며 관리하겠다"고 강조한 뒤 "(각 지역은) 창의적 발전 전략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