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봉균의원, 자문료 수수 도덕성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직 장관들이 국민은행으로부터 자문료를 받아온 것과 관련해 고위 관료들의 도덕성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강봉균 열린우리당 의원이 준(準)정부기구라 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으로 재직하면서 국민은행으로부터 2천만원을 수수한 것은 '도덕 불감증'의 표본이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과 국민은행에 따르면 강 의원은 2002년 4월부터 7월까지 국민은행의 자문에 응한 대가로 2천만원을 받았다.
강 의원의 KDI 원장 재직기간(2001년3월∼2002년6월)중 2002년 4∼6월 3개월동안은 KDI에서 급여를 받으면서 국민은행에서 자문료도 받은 것이다.
금융계 일각에선 "강 의원이 KDI원장 신분으로 영리기업으로부터 돈을 받은 것은 법규를 떠나 모럴 해저드의 극치"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책 연구기관인 KDI의 원장이나 연구원들은 사실상 준(準)공무원 신분이기 때문에 영리기업에서 돈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강 의원측은 "국민은행이 법적으로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해서 자문역을 수락한 것이며 이후 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그만뒀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문제될 것도 없다"는 입장이다.
전윤철 감사원장과 이근영 전 금융감독위원장에 대한 도덕성 시비도 끊이질 않고 있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공직자는 퇴직 후 2년간 유관 분야 사(私)기업체에 취업할 수 없다.
물론 고문으로 활동한 것이 '취업'은 아니더라도 전 감사원장과 이 전 금감위원장은 2년이 채 지나지 않은 상태여서 논란에 휩싸여 있는 것.
전 감사원장은 작년 2월 부총리에서 물러났으며 작년 7∼9월 국민은행으로부터 자문료를 받았다.
이 전 금감위원장은 작년 3월 금감위원장 퇴임 후 올 2월부터 국민은행에서 자문료를 받았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특히 강봉균 열린우리당 의원이 준(準)정부기구라 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으로 재직하면서 국민은행으로부터 2천만원을 수수한 것은 '도덕 불감증'의 표본이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과 국민은행에 따르면 강 의원은 2002년 4월부터 7월까지 국민은행의 자문에 응한 대가로 2천만원을 받았다.
강 의원의 KDI 원장 재직기간(2001년3월∼2002년6월)중 2002년 4∼6월 3개월동안은 KDI에서 급여를 받으면서 국민은행에서 자문료도 받은 것이다.
금융계 일각에선 "강 의원이 KDI원장 신분으로 영리기업으로부터 돈을 받은 것은 법규를 떠나 모럴 해저드의 극치"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책 연구기관인 KDI의 원장이나 연구원들은 사실상 준(準)공무원 신분이기 때문에 영리기업에서 돈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강 의원측은 "국민은행이 법적으로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해서 자문역을 수락한 것이며 이후 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그만뒀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문제될 것도 없다"는 입장이다.
전윤철 감사원장과 이근영 전 금융감독위원장에 대한 도덕성 시비도 끊이질 않고 있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공직자는 퇴직 후 2년간 유관 분야 사(私)기업체에 취업할 수 없다.
물론 고문으로 활동한 것이 '취업'은 아니더라도 전 감사원장과 이 전 금감위원장은 2년이 채 지나지 않은 상태여서 논란에 휩싸여 있는 것.
전 감사원장은 작년 2월 부총리에서 물러났으며 작년 7∼9월 국민은행으로부터 자문료를 받았다.
이 전 금감위원장은 작년 3월 금감위원장 퇴임 후 올 2월부터 국민은행에서 자문료를 받았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