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사상최대 매출 ‥ 2분기 영업익.순익 둔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전자가 휴대폰 판매 호조에 힘입어 2분기에 사상 최대 매출을 올렸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분기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LG전자는 2분기에 △매출 6조2백90억원 △영업이익 3천9백52억원 △경상이익 6천7백36억원 △순이익 4천9백44억원의 실적을 각각 올렸다고 19일 발표했다.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0.5% 늘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9%,15.4% 감소했다.
하지만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매출(29.0%) 영업이익(50.7%) 순이익(85.0%) 모두 대폭 증가했다.
특히 수출은 작년 동기대비 31% 늘어난 4조6천4백76억원에 달했다.
LG전자는 북미지역에 대해 디지털TV와 휴대전화 판매를 확대키로 하고 올해 매출목표를 당초 22조원에서 24조원으로 늘려잡았다.
사업부문별로는 정보통신사업본부의 실적개선이 두드러졌다.
정보통신사업본부는 휴대폰 부문이 작년 동기보다 89% 증가한 1조9천2백15억원(9백94만대 판매)의 매출을 올린데 힘입어 매출 2조1천3백1억원,영업이익 1천4백1억원을 거뒀다.
이는 1분기보다 각각 19.1%와 1백48%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률도 1분기 3.2%에서 6.6%로 두배를 웃돌았다.
LG전자는 3분기에도 북미시장에 대한 CDMA 단말기 판매가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데다 유럽 및 중국을 겨냥한 GSM 단말기 라인업도 보강할 계획이어서 전년동기 대비 45% 증가한 1천1백만대를 판매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디지털 디스플레이&미디어사업본부(DDM)는 매출 2조1천3백97억원,영업이익 9백96억원(영업이익률 4.7%)을 나타냈다.
1분기 대비 매출은 10.7%,영업이익은 32.0% 격감했다.
LG전자는 3분기에는 디지털TV 전송방식이 확정돼 내수 판매 증가 등으로 인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LG전자는 지난 6월말 현재 차입금이 4조2천8백억원이며 부채비율은 1백95%라고 밝혔다.
LG전자 관계자는 "내수 침체가 지속된데다 DDM 부문의 수출 신장세 둔화 등이 겹쳐 1분기에 비해 이익이 감소했다"며 "하반기에는 PDP 휴대폰 디지털TV 등 주력제품의 성장확대 및 수출증대로 20%이상의 매출신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LG전자 권영수 부사장은 이날 증권거래소에서 열린 기업설명회(IR)에서 "디지털TV의 원천기술에 대한 로열티 협상을 다른 제조업체와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자회사인 미국 제니스사가 가지고 있는 미국식 디지털TV 전송기술에 관한 원천특허와 관련, "대당 로열티가 얼마나 될지 아직은 알 수 없으며 일부는 크로스라이선스 형태가 될 수도 있다"며 "특허기술을 쓰는 업체들은 과거 사용분까지 소급해 로열티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북미사업과 관련해 "LG 브랜드는 디지털TV와 휴대전화,그리고 주요 가전제품 등 분야의 고급 제품에 사용하고 '제니스'와 '골드스타'는 주로 아날로그 TV와 창문형 에어컨,전자레인지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로 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LG전자 주가는 5만2천원으로 1.6% 올랐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
LG전자는 2분기에 △매출 6조2백90억원 △영업이익 3천9백52억원 △경상이익 6천7백36억원 △순이익 4천9백44억원의 실적을 각각 올렸다고 19일 발표했다.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0.5% 늘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9%,15.4% 감소했다.
하지만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매출(29.0%) 영업이익(50.7%) 순이익(85.0%) 모두 대폭 증가했다.
특히 수출은 작년 동기대비 31% 늘어난 4조6천4백76억원에 달했다.
LG전자는 북미지역에 대해 디지털TV와 휴대전화 판매를 확대키로 하고 올해 매출목표를 당초 22조원에서 24조원으로 늘려잡았다.
사업부문별로는 정보통신사업본부의 실적개선이 두드러졌다.
정보통신사업본부는 휴대폰 부문이 작년 동기보다 89% 증가한 1조9천2백15억원(9백94만대 판매)의 매출을 올린데 힘입어 매출 2조1천3백1억원,영업이익 1천4백1억원을 거뒀다.
이는 1분기보다 각각 19.1%와 1백48%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률도 1분기 3.2%에서 6.6%로 두배를 웃돌았다.
LG전자는 3분기에도 북미시장에 대한 CDMA 단말기 판매가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데다 유럽 및 중국을 겨냥한 GSM 단말기 라인업도 보강할 계획이어서 전년동기 대비 45% 증가한 1천1백만대를 판매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디지털 디스플레이&미디어사업본부(DDM)는 매출 2조1천3백97억원,영업이익 9백96억원(영업이익률 4.7%)을 나타냈다.
1분기 대비 매출은 10.7%,영업이익은 32.0% 격감했다.
LG전자는 3분기에는 디지털TV 전송방식이 확정돼 내수 판매 증가 등으로 인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LG전자는 지난 6월말 현재 차입금이 4조2천8백억원이며 부채비율은 1백95%라고 밝혔다.
LG전자 관계자는 "내수 침체가 지속된데다 DDM 부문의 수출 신장세 둔화 등이 겹쳐 1분기에 비해 이익이 감소했다"며 "하반기에는 PDP 휴대폰 디지털TV 등 주력제품의 성장확대 및 수출증대로 20%이상의 매출신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LG전자 권영수 부사장은 이날 증권거래소에서 열린 기업설명회(IR)에서 "디지털TV의 원천기술에 대한 로열티 협상을 다른 제조업체와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자회사인 미국 제니스사가 가지고 있는 미국식 디지털TV 전송기술에 관한 원천특허와 관련, "대당 로열티가 얼마나 될지 아직은 알 수 없으며 일부는 크로스라이선스 형태가 될 수도 있다"며 "특허기술을 쓰는 업체들은 과거 사용분까지 소급해 로열티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북미사업과 관련해 "LG 브랜드는 디지털TV와 휴대전화,그리고 주요 가전제품 등 분야의 고급 제품에 사용하고 '제니스'와 '골드스타'는 주로 아날로그 TV와 창문형 에어컨,전자레인지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로 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LG전자 주가는 5만2천원으로 1.6% 올랐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