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서울시 등은 지하철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대체 인력투입, 철도청 전철 노선 증차운행, 개인택시 부제 해제, 기관사 근무시간 확대 등 비상수송 대책을 시행키로 했다.

강동석 건설교통부 장관은 20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지하철 운영기관은 지하철 파업에 대비,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와 지자체는 아울러 출.퇴근 시차제 실시, 시내버스 노선조정 및 연장운행,전세버스 임시운행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강 장관은 내년부터 지하철건설을 위한 정부지원을 건설비의 50%에서 60%로 높이고 지하철 부채에 대한 이자를 정부에서 지원해주겠다는 기존방침을 재확인했다.

강 장관은 노조의 요구대로 인원을 늘리면 전국적으로 약 7천명의 인력이 추가로 늘게 된다며 "이는 정부로서는 도저히 받아들 수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편 건교부는 직권중재 회부된 서울.인천지하철의 경우 파업시 대체인력 투입이 가능해 파업일 7일까지는 정상운행이 가능하지만 부산은 직권중재에 계속 미회부되면 극심한 출.퇴근 교통혼란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각 지역별 비상수송대책은 다음과 같다.

◆서울 = 기관사들의 근무량을 늘려 1인당 운행시간을 평시의 4시간42분에서 6시간-6시간20분으로 확대, 출퇴근시 지하철 운행간격을 2.5-3분, 평시에는 4-6분을유지키로 했다.

내부인력과 퇴직자, 소방인력, 군인력, 협력업체 등 외부인력으로 모두 7천565명의 대체인력을 확보, 파업시 즉각 투입키로 했다.

철도청 전철 노선을 평일에는 42회, 토.일.공휴일에는 18-30회 증차 운행하고 1만4천145대의 개인택시 부제를 해제키로 했다.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를 연장운행하고 시내버스 5개 노선을 지하철 노선 중심으로 조정하는 한편 전세버스 49대를 4개 노선에 임시운행토록 하고 시청 및 구청버스32대를 출.퇴근시간에 집중투입키로 했다.

아울러 출.퇴근 시차제를 실시해 통행수요를 분산키로 했다.

◆부산 = 파업 3일까지는 정상운행이 가능하지만 4일부터는 정상치의 81%수준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파업시에는 기관사 등 902명(평시의 29%)의 내부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며 시내버스 6개노선 90대, 마을버스 140개 노선 514대를 연장 운행한다.

또 개인택시 3천407대의 부제를 해제하고 합승을 허용하며 전세버스(80대)와 시청 및 구청버스(40대)를 투입할 계획이다.

◆대구 = 파업이 실시되면 평상대비 57% 축소운행을 실시하고 평시의 44%선인 599명의 내부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 시내버스 4개 노선 78대를 중차하고 개인택시 4천511의 부제를 해제하며 공공기관 통근버스 20대를 임시운행키로 했다.

자가용 함께타기 운동과 출근시차제도 시행할 계획이다.

◆인천 = 파업일 7일까지 100% 운행하고 8일부터 85%수준으로 낮출 예정이며 이에따라 지하철 운행시간은 7일까지 6-10분, 8일부터는 6-12분으로 늘어난다.

기관사 등 대체인력 580명(평시의 57%)을 확보했으며 시내버스 예비차 73대를투입하고 택시 2천876대의 부제를 해제하는 한편 관용버스 29대 및 전세버스 200대를 임시운행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신삼호기자 s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