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오는 2007년부터 서태평양 '해상기지'건설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아사히(朝日) 신문이 미 해군 소식통을 인용해 21일 보도했다.

신문은 미군 당국의 이같은 방침은 분쟁지역 인근에 지상기지를 확보하지 못한경우에 대비한 것으로 해상기지는 10여대의 항공기를 탑재한 항공모함식 군함을 중심으로 한 선단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 후보지로는 미군 기지가 소재한 서태평양 괌 인근 해상이 유력하나 다른해역이 될 수도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해상기지 건설계획은 미군 재배치의 일환으로 지난해 이라크전 발발 후 터키가미군의 주둔을 거부, 작전수행에 큰 차질이 발생하자 구체화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상기지의 핵심은 항공모함 형태의 군함으로 이에는 10여대의 항공기가 탑재되고 해병대 등 지상부대가 배치, 출격과 보급 거점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다수의 함선과 방공용 전투기가 이 항공모함 형태의 군함 주변에 배치, 선단을 형성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미국측은 지난 15-1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주일미군 재배치 실무협의에서 일본측에 제시한 '재배치안'을 대통령선거 전인 오는 10월까지 실질합의한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니혼게이자이(日經) 신문이 보도했다.

이 안은 주일미군 기지를 아시아.태평양 지역, 나아가 중동지역까지 관할하는사령탑으로 격상시키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호소다 히로유키(細田博之) 일본 관방장관은 20일 기자회견에서 일본측은 '미.일 안보조약'의 범위를 '극동'지역으로 규정한 '극동조항'의 개정 필요성을 느끼지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언급은 주일미군의 활동범위가 아.태 지역을 넘어 중동까지 이를 경우해외에서의 무력행사를 금지한 일본 헌법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위반시비에 휘말릴 것을 우려해 나온 것으로 해석됐다.

(도쿄=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