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지하철인가"…21일 출근길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등 4개 지역 지하철노조가 21일 오전 4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키로 함에 따라 최근 '버스대란'에 이은 '지하철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지난 1일 전면 개편한 대중교통체계가 겨우 자리잡은 서울의 경우 지하철 파업으로 많은 승객이 한꺼번에 버스로 몰릴 경우 '제2의 교통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 '버스대란'에 이어 '지하철 대란' 오나 =궤도연대 산하 5개 노조는 20일 밤 늦게까지 사측과 실무교섭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들 노조원은 이날 노조별로 파업출정식을 갖고 21일 오전 파업에 돌입키로 했다.
이에 따라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등지의 지하철에 당분간 비노조원인 대체인력이 투입되는 등 혼란이 에상된다.
특히 서울의 경우 지하철 수송분담률이 34.6%로 하루 평균 6백만명이 지하철을 이용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혼란의 정도가 심할 것으로 보인다.
지하철 파업으로 전동차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이 줄어들면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 중 상당수가 버스나 승용차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버스중앙전용차로와 새 교통카드 등 버스체계 개편에 따른 문제가 또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시민들은 "버스 때문에 한차례 '홍역'을 치렀는데 또 다시 지하철 때문에 피해를 봐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 파업 장기화때는 더 큰 피해도 =서울과 인천 지하철노조는 직권중재 결정에도 불구하고 불법파업을 강행키로 해 정부와의 충돌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이번 파업이 각 단위사업장별 파업이 아니라 민주노총 산하 궤도연맹의 연대투쟁 방식으로 진행되고, 정부와 민노총 간의 대리전 성격을 띠고 있어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문제는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대체인력만으로는 지하철 정상운행이 불가능하고 사고위험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핵심인력인 기관사의 경우 지하철공사는 필요인원보다 1백33명이 적은 3백83명, 도시철도공사는 99명이 부족한 3백81명을 확보한 상태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체인력을 투입해 최대한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겠지만, 파업이 1주일 이상 장기화될 경우 지하철 운행시간 및 배차간격을 줄일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 각 지자체 비상수송대책 마련 =서울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 등은 21일부터 노조 파업에 따른 혼란을 막기위해 기관사, 역무원 등 모든 업무분야에 각각 5천70명, 6천4백67명의 대체인력을 투입키로 했다.
공사측은 또 전동차 운행시간과 출퇴근 시간대 배차간격(2분30초~3분)도 당분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서울시도 지하철 파업에 따른 3단계 대책을 발표, 지하철과 연계되는 버스 노선을 연장운행하고 예비차량을 투입하기로 했다.
시는 지하철 운행률이 70% 이하로 낮아질 경우 전세버스 1백대를 추가 투입할 방침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특히 지난 1일 전면 개편한 대중교통체계가 겨우 자리잡은 서울의 경우 지하철 파업으로 많은 승객이 한꺼번에 버스로 몰릴 경우 '제2의 교통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 '버스대란'에 이어 '지하철 대란' 오나 =궤도연대 산하 5개 노조는 20일 밤 늦게까지 사측과 실무교섭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들 노조원은 이날 노조별로 파업출정식을 갖고 21일 오전 파업에 돌입키로 했다.
이에 따라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등지의 지하철에 당분간 비노조원인 대체인력이 투입되는 등 혼란이 에상된다.
특히 서울의 경우 지하철 수송분담률이 34.6%로 하루 평균 6백만명이 지하철을 이용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혼란의 정도가 심할 것으로 보인다.
지하철 파업으로 전동차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이 줄어들면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 중 상당수가 버스나 승용차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버스중앙전용차로와 새 교통카드 등 버스체계 개편에 따른 문제가 또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시민들은 "버스 때문에 한차례 '홍역'을 치렀는데 또 다시 지하철 때문에 피해를 봐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 파업 장기화때는 더 큰 피해도 =서울과 인천 지하철노조는 직권중재 결정에도 불구하고 불법파업을 강행키로 해 정부와의 충돌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이번 파업이 각 단위사업장별 파업이 아니라 민주노총 산하 궤도연맹의 연대투쟁 방식으로 진행되고, 정부와 민노총 간의 대리전 성격을 띠고 있어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문제는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대체인력만으로는 지하철 정상운행이 불가능하고 사고위험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핵심인력인 기관사의 경우 지하철공사는 필요인원보다 1백33명이 적은 3백83명, 도시철도공사는 99명이 부족한 3백81명을 확보한 상태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체인력을 투입해 최대한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겠지만, 파업이 1주일 이상 장기화될 경우 지하철 운행시간 및 배차간격을 줄일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 각 지자체 비상수송대책 마련 =서울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 등은 21일부터 노조 파업에 따른 혼란을 막기위해 기관사, 역무원 등 모든 업무분야에 각각 5천70명, 6천4백67명의 대체인력을 투입키로 했다.
공사측은 또 전동차 운행시간과 출퇴근 시간대 배차간격(2분30초~3분)도 당분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서울시도 지하철 파업에 따른 3단계 대책을 발표, 지하철과 연계되는 버스 노선을 연장운행하고 예비차량을 투입하기로 했다.
시는 지하철 운행률이 70% 이하로 낮아질 경우 전세버스 1백대를 추가 투입할 방침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