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판교 신도시가 애초 예정보다 2∼3개월빠른 내년 3월께 분양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환경부가 남모를 고민에 빠져 있다.

건설교통부가 2001년 12월 판교 신도시 택지개발지구 지정을 앞두고는 1만9천700가구로 계획을 세웠다가 최근 돌연 2만9천700가구로 늘리기로 했기 때문.

내심 반대 입장이었다가 마지못해 1만9천700가구 건설계획에 동의를 해줬던 환경부로서는 건교부의 이런 태도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것.

환경부 관계자는 21일 "환경부나 환경단체들은 판교 신도시에 대해 원칙적으로는 반대 입장이었다"면서 "하지만 당시 강남 땅값이 치솟는 상황에서 택지개발지구지정에 동의한 것은 ㏊당 64명의 초저밀도 개발이라는 전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건교부의 태도가 바뀐 것은 지난해부터였다.

건교부는 강남 대체 주거지로 개발되는 판교 신도시가 1만9천 가구로는 강남의초과수요를 흡수하기에 부족하다며 이를 2만9천 가구로 늘리기 위해 당시 여당인 민주당과 당정협의를 벌이기 시작한 것. 정부와 민주당은 급기야 지난해 8월 2만9천 가구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양 부처가 부딪힌 건 택지개발지구 지정 후 절차인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였다.

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 초안 협의 과정에서 건교부가 2만9천 가구, 즉 ㏊당 96명으로 이뤄진 안을 가져오자 "애초 부처 간 협의에서는 1㏊당 64명으로 동의를 해준 것 아니냐"며 변경을 요구했다.

최근 이뤄진 본안 협의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건교부가 다 밀어붙여 놓은 사안을 끝까지 반대하기도 쉽지 않은 입장인환경부로서는 고심을 거듭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과천시가 ㏊당 200명인데 판교신도시가 ㏊당 64명에서 96명으로 바뀌었다고 해도 초저밀도에서 저밀도로 바뀐 것일 뿐"이라며 "환경단체 반발도우려되고 끝까지 반대하기도 쉽지 않아 고민이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충원기자 chungw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