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왜 '10년'을 잃어버렸는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해석이 있다.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금융ㆍ실물 연계 가설'.

자산 거품으로 인한 금융경색이 투자와 소비에 연쇄 반응을 일으켜 장기불황을 초래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재정경제부는 "한국 부동산시장에도 일부 거품이 있지만 단기간에 형성된 소규모 거품이라는 점에서 일본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폴 크루그먼 미국 프린스턴대학 교수는 '유동성 함정 가설'이라는 이론을 들고 나왔다.

미래소득이나 물가상승에 대한 기대가 낮아지면서 '제로금리' 하에서도 국민들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려 기업의 활력을 떨어뜨렸다는 설명이다.

통화정책을 통해 경기를 부양해도 아무런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얘기다.

그러나 한국은 여전히 물가상승에 대한 불안이 남아 있어 일본처럼 '유동성 함정'에 빠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만 투자와 소비의 이중침체로 인한 수요부족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목되고 있다.

일본의 장기불황이 자산 거품으로 인한 신용경색보다는 총요소생산성 저하로 발생했다는 해석도 있다.

부실기업과 사양산업에 대한 지원이 생산성 저하를 초래했고 생산성 향상이 뒷받침되지 않는 투자가 과잉설비로 이어져 경제전반이 몸살을 앓았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 80년대 2.4% 수준이던 일본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90년대 들어 0.2%로 급락했다.

반면 한국개발연구원은 2003년 이후 10년간 한국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2.6%로 비교적 높게 전망하고 있다.

이밖에 은행의 비합리적 대출관행으로 부실기업이 일정수준을 넘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일본형 동맥경화 현상이 나타났다는 '부실대출 가설'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